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무료상담 서비스는 의료 행위(의사의 진료)를 대신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드려요.
약이나 연고는 병원에 방문하신 후 처방에 따라 적용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해외에서 많이 힘이 드실 것 같아요. 병원에서의 처치가 힘드신 경우라면 찰과상에 대한 관리 법을 알려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 손 씻기: 상처를 소독하기 전, 먼저 물과 비누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손을 닦아주세요.
만약 다른 사람의 상처 소독이 필요한 경우에는, 감염 예방 등 안전을 위해 일회용 장갑 등을 착용해 주세요.
- 지혈: 찰과상 부위에서 출혈이 있다면 깨끗한 거즈나 수건 등으로 환부를 눌러주어 지혈이 되게 해주세요. 환부를 심장보다 높은 위치에 올 수 있도록 자세를 변경해 주면 지혈에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전 처치: 흐르는 물이나 생리식염수로 환부를 씻어주고, 눈에 보이는 이물질이나 잔여물은 최대한 제거해 주세요. 만약 모래 알갱이 등과 같은 작은 이물질들이 박혀 잘 빠지지 않는 경우에는 무리하게 제거하려고 하는 것보다는 병원 처치가 필요할 수 있어요.
- 소독 및 연고 사용: 포비돈 용액 등으로 안쪽에서 바깥쪽 방향으로 둥그렇게 소독액을 바른 뒤 충분히 말려주세요. 소독액이 모두 마른 뒤에는 세균 감염 예방을 위해 국소용 항생제 연고를 사용해 주세요.
- 밴드 사용: 상처 부위가 크거나 깊은 경우에는 삼출물을 흡수하고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메디폼과 같은 습윤 밴드를 붙여주세요. 삼출물로 인해 밴드가 두꺼워지고 하얗게 변할 때 교체해 주세요. 만약 삼출물의 양이 많아 자주 교체할 때에는 소독액 사용이 정상 세포까지 파괴하여 오히려 상처 회복을 더디게 할 수 있으니, 생리식염수와 거즈를 이용하여 세척한 뒤에 연고를 바르고 바로 밴드를 사용할 수 있어요.
- 병원 진료: 위와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음에도 환부 주변에 발적이 생기거나, 통증이 더 심해지거나, 고름이 나오는 등의 증상이 있다면 2차 감염을 염두에 두고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요.
- 후 처치: 개방된 상처가 아물고 가피(딱지)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처 회복을 돕고 흉터가 발생하지 않도록 흉터 연고를 사용해 주세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