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운 치료 후 1년 만에 통증이 생긴 이유는?
우측 아래 어금니 쪽 크라운 치료 한지 1년 조금 넘었는데 욱신 욱신 거리는 통증 있습니다
우측 아래 어금니 쪽 크라운 치료 한지 1년 조금 넘었는데 욱신 욱신 거리는 통증 있습니다
AD
크라운 치료 후 1년 만에 통증이 생긴 이유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는 주요 원인과 관련된 설명입니다:
치아 신경 문제: 크라운 치료 당시 신경치료를 하지 않았거나, 신경치료를 했더라도 잔여 신경 부위에 염증이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신경이 자극을 받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크라운 치료 후에도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크라운의 부적합: 크라운이 치아에 완벽히 맞지 않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크라운이 느슨해지거나 틈이 생기면 음식물이나 세균이 침투하여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크라운의 적합성은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합니다.
치주 질환: 크라운 주변의 잇몸에 염증이 생기거나 치주 질환이 진행되면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크라운 주변의 관리가 소홀했을 경우, 치주염이나 잇몸 염증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아 균열: 크라운 아래의 자연 치아가 균열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는 크라운이 씹는 힘을 제대로 분산하지 못했거나, 과도한 힘이 가해졌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아 균열은 엑스레이나 정밀 검사를 통해 확인이 가능합니다.
2차 충치: 크라운 아래쪽에 새로운 충치가 생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크라운이 씌워져 있어도 치아의 뿌리 부분은 여전히 충치에 취약하며, 관리가 부족할 경우 2차 충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염증성 병변: 크라운 치료 부위에 염증성 병변이 생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는 치아 내부나 주변 조직에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과 부종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치과를 방문하여 엑스레이 촬영 및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특히 통증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방치하지 말고 빠른 시일 내에 치과 진료를 받으시길 권장드립니다. 초기에는 간단한 치료로 해결될 수 있는 문제도 시간이 지날수록 복잡해질 수 있으니, 조기에 진단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신경치료후 크라운씌웠는데..1년이 지난시점에서 따뜻하거나 미지근한 물을마시면 크라운씌운어금니에서부터 아래어금니까지 통증이 있어서 크라운치료받았던 치과에다시갔더니 크라운치료한데는 이상이없다고. 피곤해서 그럴수있다고 1주일더 집겨보자고 하시길래 치과간김에 혹시나 깨알 점박이같은 충치때문에 아픈건가싶어서 난중 치료해도 될것같다는 충치 레진치료까지 싹다하고왔는데...여전히 미지근하거나 따뜻한물..찌개먹을땐 묵직하게 시린통증이 있어요ㅜㅜ 문제가 뭘까요?ㅜㅜ
현재 윗쪽 어금니에 메탈 크라운으로 씌우기 전 단계이고, 임시치아를 낀 상태입니다. (신경 치료는 진행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병원에서 크라운을 씌우게 되면 임시치아를 꼈을때 보다 뜨거운 것, 차가운 것을 먹을 때 (임시치아 때 보다)더 시릴 수 있다고 합니다. 시리는 기간은 길게는 6개월~1년도 간다고 설명을 들었습니다. (메탈이 아니어도, 금이나 PFM도 시리는건 크라운 전부 동일하다고 들었습니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고 들었는데, 원래 크라운을 씌우고 난 후에 최대 1년 까지 차가운 것, 뜨거운 것 먹으면 시릴 수 있나요? <질문 요약> 1. (메탈)크라운을 씌우게 되면 뜨거운 음식, 차가운 음식은 섭취시 통증은 감수하고 먹어야 하는지? 2.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크라운을 씌우고 난 후 길게는 1년 까지 (찬것, 더운것에) 시린 통증이 있는게 맞는지?
어금니 신경 치려 후 크라운으로 씌웠어요. 치료 마무리된지 1주일 정도 지났는데 아직 크라운쪽 이삘로 음식을 씹으면 욱신거리는 통증이 있어요. 치료를 다시 받아야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