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무감각이 계속될 때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오른쪽무릎무이감각없습니다 정형외과가서치료했는데 계속무감각이내요 그래서 신경과가서 검사했는데요 아무이상없다고하내 신경과의사님이 큰병원에가서 엠알아이 검사를해보라고해서 했는데요 큰병에서 아무이상없다고하내 그냥 시간이필요하다고 하내요 그래서 답답합니다 어떻게해야하나요?
오른쪽무릎무이감각없습니다 정형외과가서치료했는데 계속무감각이내요 그래서 신경과가서 검사했는데요 아무이상없다고하내 신경과의사님이 큰병원에가서 엠알아이 검사를해보라고해서 했는데요 큰병에서 아무이상없다고하내 그냥 시간이필요하다고 하내요 그래서 답답합니다 어떻게해야하나요?
AD
무릎의 무감각이 지속되고 여러 병원에서 검사를 받았음에도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현재로서는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호전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경과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무릎의 무감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경과에서 이상이 없다는 결과를 받으셨고, MRI 검사에서도 특별한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면, 말초신경 문제나 혈액순환 문제보다는 일시적인 신경 압박이나 근육, 관절의 문제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증상이 지속되거나 불편함이 크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재활 치료 및 물리치료: 무감각이 신경 손상이나 혈액 순환 문제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전문 물리치료사의 도움을 받아 재활 치료를 진행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스트레칭이나 근력 강화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무릎 주변 근육을 강화하면 관절 안정성을 높이고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추가적인 신경학적 검사: MRI 외에도 신경 전도 검사(EMG)나 초음파 검사를 통해 신경 손상 여부를 더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다른 신경과 전문의를 찾아 추가적인 의견을 들어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생활 습관 개선: 무릎 주변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기 위해 규칙적인 운동, 적절한 체중 유지, 그리고 장시간 앉아 있거나 특정 자세를 유지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평소 활동 시 주의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심리적 요인 고려: 때로는 스트레스나 심리적 요인이 신체 증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심리 상담이나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병행해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관찰 및 추가 진료: 현재로서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받으셨지만, 증상이 악화되거나 새로운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다시 병원을 방문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지속적으로 불편함을 느끼신다면, 다른 전문의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무릎의 무감각은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도 많지만, 증상이 점차 호전될 가능성도 있으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생활 습관을 개선하며 경과를 지켜보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그러면 입슬턱 무감각이면 집에서치료하는방법없나요? 이거 오래간다고한는데요 이빨이나 아프지안습니다 무감각뿐입니다
좌골신경통 무감각이 오면 심각한 건가요
손가락에 감각 이상이 있는거같습니다. 무감각같은데 완전히 무감각은 아니구요.. 딱히 어떻게 테스트를 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왼손에 비해 오른손의 손가락이 조금 어색하고 어둔한 느낌이 듭니다. 무감각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혼자 물건을 만지면서 테스트해보기엔 너무 주관적이라 질문합니다. 오른손은 약간 왼손에 장갑을 끼웠을때랑 비슷한 느낌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