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락틴 수치 상승 원인은 무엇인가요?
2년전 뇌하수체 물혹이 있어서 추적관찰 하고 있는데 그때는 프로락틴수치가 정상이였는데 이번 추적관찰때는 수치가 47정도 나왔어요 이게 꼭 낭종이 아니더라도 오를수가 있나요?
2년전 뇌하수체 물혹이 있어서 추적관찰 하고 있는데 그때는 프로락틴수치가 정상이였는데 이번 추적관찰때는 수치가 47정도 나왔어요 이게 꼭 낭종이 아니더라도 오를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신경외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프로락틴 수치 상승은 뇌하수체 물혹(낭종) 외에도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프로락틴 수치가 상승하는 주요 원인으로는:
질문자님의 경우, 2년 전에는 뇌하수체 물혹이 있어도 프로락틴 수치가 정상이었다가 이번에 47로 상승했다면, 물혹의 변화 외에도 위에 언급된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셨거나, 수면 패턴이 바뀌었거나, 새로운 약물을 복용하기 시작했다면 이러한 요인들이 프로락틴 수치 상승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정확한 원인 파악을 위해서는 담당 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제가 두 달간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었는데 다른 병원에서 호르몬 검사를 한 번 씩 했었거든요 프로락틴이 두 달 내에 29에서 37까지 증가했어요 프로락틴 옆에 비임신 수치가 5~23이라 적혀있는데 이거 뭐죠?. 찾아보니 프로락틴이 임신이면 올라간다 하더라고요 마지막 관계 후 두 달 뒤 피검사 하고 결과 받았던 거라 임신은 아닐텐데 의사선생님도 프로락틴 보고 스트레스나 뇌에 혹? 이런 말씀 주셨는데 임신이 아니여도 프로락틴이 올라가는 경우가 흔한가요? 피검사를 신뢰하면 되죠? 그리고 지금은 두 달만에 프로락틴 테스토스테론 DHEA가 많이 높아졌는데 스트레스 영향이 클까요? 생리유도제를 맞았는데 이런 게 높으면 생리가 유발되지 않을까요? 일주일이란 말도 있고 2주라는 말도 있는데 얼마나 기다려봐야 할까요? 두 달 전에는 프로락틴이 29정도고 DHEA 가 348로 평균보다 많이 높진 않았거든요 근데도 생리 불순이 있었는데 호르몬이 평균과 심하게 차이나지 않아도 생리불순이 올 수 있나요?
17세 남자입니다. 프로락틴 수치가 35정도 나오는 상태이고요, 뇌압 상승 증상을 몇년째 겪는 중입니다. 뇌압 상승으로 인해 프로락틴이 과다 분비 되는 경우가 있나요? 뇌하수체에 아주 작은 덩어리가 발견되었지만 의사는 이정도면 문제될건 없다고 하셨습니다
비임신 여성 청소년 프로락틴 수치 높은 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