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형세포 판정 후 hpv 바이러스 검사 결과와 조직검사 결과의 연관성은?
비정형세포 판정을 받아서 초음파 검사에 hpv 바이러스 검사도 받았습니다 아직은 절제할 필요는 없다시는데 그러면 조직검사에서도 바이러스가 안나오거나 아니면 고위험군이 나올 확률이 적을까요??😄
비정형세포 판정을 받아서 초음파 검사에 hpv 바이러스 검사도 받았습니다 아직은 절제할 필요는 없다시는데 그러면 조직검사에서도 바이러스가 안나오거나 아니면 고위험군이 나올 확률이 적을까요??😄
비정형세포 판정을 받으셨다면, 이는 자궁경부에 비정상적인 세포, 즉 이상 세포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비정형세포는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일 수 있습니다. HPV 바이러스 검사는 여러 가지 유형의 HPV 중에서 특히 자궁경부암과 관련이 높은 고위험군 HPV 유형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비정형세포가 발견되었을 때 HPV 검사를 함께 시행하는 이유는 HPV 감염이 자궁경부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조직검사는 실제로 조직의 일부를 채취하여 더 정밀하게 세포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조직검사에서는 세포의 이상뿐만 아니라 세포 변화의 정도, 암 전 단계의 병변인지 여부 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HPV 검사 결과와 조직검사 결과는 서로 연관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위험군 HPV 감염이 확인되면 조직검사에서도 자궁경부의 이상 세포 변화를 발견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HPV 검사에서 고위험군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면 조직검사에서 심각한 이상이 발견될 확률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HPV 검사 결과가 음성이라 하더라도 조직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될 수 있으며, HPV 검사 결과가 양성이라 하더라도 조직검사에서는 경미한 이상만 발견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두 검사 결과는 서로 독립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최종적인 진단과 치료 계획은 의사의 종합적인 판단에 따라 결정됩니다. 의사가 절제할 필요가 없다고 말씀하셨다면, 현재로서는 조직검사 결과가 경미하거나 관찰이 필요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추적 관찰을 통해 상태의 변화를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자궁경부 검사 결과 (조직검사까지 했어요) 비정형세포와 자궁경부염 판정을 받았는데 비정형 세포도 hpv로 인한 게 맞나요? 앞으로 성관계하면 자궁경부염 더 심해질까요? 자궁경부염도 자궁경부암과 관련이 있나요?
암검진 받은후 비정형 편평세포? 비정상세포 소견받아서(그전까지는 암검사할때마다 정상 나왔어요) Hpv바이러스 검사와 자궁확대경촬영 검사까지했어요 결과를 기다리는중인데 저는 hpv고 위험군16,18번이 나오거나 그러면 그때 조직검사를 하고있는데 hpv바이러스가 안나와도 무조건 조직검사는 해야한데요.. 보통 고위험군 안나오면 3-6개월 지켜보고 재검 아닌가요? 과잉진료같아요 조직검사 여부 질문드려요ㅠ
이번에 자궁 경부암 검진[국가검진]을 받았는데 산부인과에서 비정형성 세포라고 암의 전전 단계라고 하시던데, 조직 검사를 진행하자고 하십니다 자궁경부암 검진을 하면 hpv 바이러스도 확인이 되는건가요? 그리고 조직 검사를 할 경우에는 비정형성 세포의 원인을 알수있는건가요? 조직 검사는 무조건 hpv 바이러스가 발견되었을때만 하는건지 그리고 비정형성 세포의 원인이 궁금합니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