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활성결핵인데 결핵일 확률이 있나요?
건강검진에서 비활성결핵이라고 나왔는데 보건소애서도 가래 ct를 찍어야 한다고 연락이 왔네요 근데 기침도 전혀 안하는데 결핵일 홛률이 있을까요
건강검진에서 비활성결핵이라고 나왔는데 보건소애서도 가래 ct를 찍어야 한다고 연락이 왔네요 근데 기침도 전혀 안하는데 결핵일 홛률이 있을까요
AD
비활성 결핵은 과거에 결핵균에 감염된 적이 있지만 현재는 활동성이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경우 전염성이 없고 증상도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보건소에서 추가 검사를 권유한 이유는 결핵이 활동성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입니다.
기침이 없더라도 결핵은 초기 단계에서 증상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CT 촬영이나 가래 검사를 통해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핵일 확률은 낮을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보건소의 지시에 따라 검사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추가 검사를 통해 결핵 여부를 명확히 확인하고, 필요 시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병원이나 보건소에서 안내받은 절차를 따르시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이십년전 결핵약을먹고 완치판정을받았습니다. 그런데 그 후로는 언제든 피검사나 엑스레이 촬영을하기만하면 비활성잠복결핵이라고 나옵니다. 특히 남편때문에 해외에 비자로 왔다갔다하는데 피검사만하면 잠복결핵이니 약을 4개월간 먹으라고 합니다. 한국에서 치료받았다고 해도 해당국가서는 치료자료가없다며 결국 언젠가는 먹을수밖에없다는데요. 완치후에 비활성상태인데도 약을 다시 몇달 먹어도 건강이나 여러가지로 아무 문제가 없는건가요?
해르페스는 비활성 상태에서도 전파 가능성이 높나요?
기침이 아주 심하다가 항생제를 복용한 뒤로 많이 호전 되었는데 결핵일 확률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