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병균과 상재균의 특징과 감염 경로에 대해 궁금합니다?
좀전에 질문 드렸는데 한번더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std 12종 균 중에서 성병균은 외부에서 생존하기 힘들기 때문에 성접촉으로 감염되는균 상재균은 외부에서 생존할수있고 우리몸에 자연스럽게 붙어서 공생하는균 이라고 이해하면 되는걸까요?
좀전에 질문 드렸는데 한번더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std 12종 균 중에서 성병균은 외부에서 생존하기 힘들기 때문에 성접촉으로 감염되는균 상재균은 외부에서 생존할수있고 우리몸에 자연스럽게 붙어서 공생하는균 이라고 이해하면 되는걸까요?
네, 맞습니다. 성병균은 주로 성접촉을 통해 전파되며, 외부 환경에서는 생존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어요. 이러한 균들은 성적 접촉을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성병으로 분류되며, 클라미디아와 같은 균은 주로 성관계로 전염되지만, 드물게 목욕탕, 수영장의 젖은 수건 등을 통해 감염되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반면, 상재균은 우리 몸의 피부나 점막에 자연스럽게 존재하며, 외부 환경에서도 비교적 생존할 수 있는 균들이에요. 상재균은 일반적으로 우리 몸과 공생하며, 건강한 상태에서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면역력이 약해지거나 특정 조건이 맞으면 감염을 일으킬 수 있어요. 가드넬라균과 같은 경우는 성병으로 분류하지 않으며, 질 내에 살고 있는 공생균이기 때문에 성관계 없이도 증상이 없는 정상적인 상태에서도 관찰될 수 있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std 12종 성병균 상재균(공생균) 차이점에 대해서. 저번에 질문해서 성병균은 외부에서 생존하기 힘든환경이고 상재균(공생균)은 외부에서 생존할수있다고 들었습니다. 그 차이로 인해 감염경로의 차이도 있구요. 성병균이 외부에서 생존하기 힘들어도 몇분에서 몇시간까지 생존할수있다는데 재수없게 그 시간대에 분비물로 인해 감염될수도 있나요? 아니면 외부에서 살아있다고해도 다른 조건으로인해 감염가능성이 낮은지 궁금합니다.
std 성병균은 외부에서 생존 힘들고 생존했다해도 체내로 감염되기 어렵다고 알고있습니다. 상재균은 외부에서 생존 가능하고 그렇다면 체내로 감염되기 어려운건 성변균이랑 똑같은거 아닌가요? 성병균은 생존해있어도 감염 어렵지만 상재균은 자연스럽게 감염되는 차이가 궁금합니다
STD 성병균 상재균 외부로부터 감염 가능성이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