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초음파 후 조직검사에서 피 색깔이 유방암 진단에 영향을 미치나요?
오늘 유방 초음파를 했는데 모양이 너무 커서 조직검사를 했습니다. 근데 끝나고 간호사 두명이 피색깔 봐 이런식으로 말했는데 검사하고 나오는 피 색깔로 유방암 유무의 영향을 끼치나요? 그런 말을 들으니 더 불안하네요.
오늘 유방 초음파를 했는데 모양이 너무 커서 조직검사를 했습니다. 근데 끝나고 간호사 두명이 피색깔 봐 이런식으로 말했는데 검사하고 나오는 피 색깔로 유방암 유무의 영향을 끼치나요? 그런 말을 들으니 더 불안하네요.
유방 초음파 후 조직검사에서 나오는 피의 색깔이 유방암 진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안심하셔도 됩니다. 조직검사는 유방 조직의 세포를 채취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과정이며, 암세포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피의 색깔은 혈액의 산소 농도나 혈관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암의 유무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검사 결과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담당 의사와 상담하여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많이 불안하시겠지만 검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리시고, 결과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하시면 됩니다. 또한, 유방 초음파를 통해 유방의 병변이나 이상 소견을 확인할 수 있지만, 정확한 진단은 병변에 대한 조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검사를 받은 의료기관에 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유방암 검사 건강검진 이후 1년만에 초음파 검사를 하여 유방암 판정을 받았는데 보통 건강검진 1년후 정기적으로 검사를 하여 발견하였을 경우에는 초기(0기~2기)인 경우가 많나요?
54세 여성이고 유방검진 결과가 다음과 같이 나왔습니다. 유방검사에서 유방에 비대칭적인 국소 음영의 증가가 관찰됩니다. 유방 실질일 수도 있지만 결절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초음파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만져지는 병변이 있거나 유두의 습진, 혈성 분비물과 같은 임상증상이 있는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하시어 진료상담 바랍니다. 임상증상은 없으나 가족 중에 유방암 환자가 있는데 초음파 검사를 받아보는게 좋을까요? 유방암일 확률은 어느정도 될까요?
35세 여성입니다 유방에 결절이 있어서 2년 전 맘모톰으로 3개 제거하였고 현재 결절 1개가 다시 생겨서 추적검사 중입니다. 이번 건강검진에서 마스토체크, 유방초음파 중 선택하여 받을 수 있는데 어떤걸 추천하시나요? 유방암 유전으로는 엄마는 아니신데 이모가 유방암 진단을 받으신 적이 있으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