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개월 아기의 헛구역질, 분수토, 식사량 감소, 목 부음 증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어요. 아기가 감기약을 복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된다면, 다른 원인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아버지의 입뽀뽀가 원인일 가능성은 낮지만, 아기의 면역 체계가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성인의 입에서 전달될 수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될 수 있습니다. 산행으로 인한 감기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나, 아기가 직접 산행에 참여하지 않았다면 간접적인 영향은 적을 것입니다.
아기의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각하다면, 다음과 같은 검사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혈액 검사: 감염 여부 및 염증 지표 확인
- 소변 검사: 요로 감염 여부 확인
- 배변 검사: 소화기 감염 여부 확인
- 영상 검사: 복부 초음파나 X-ray를 통해 내부 기관의 이상 유무 확인
특히, 분수토는 위장관의 문제를 의심할 수 있으므로, 소아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적절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기의 수분 섭취가 충분한지, 탈수 증상이 있는지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병원에 다시 방문하여 아기의 현재 상태와 증상의 변화를 자세히 설명하고, 필요한 검사와 치료를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아기의 분수토 횟수가 하루 수유 먹는 횟수의 반 이상이라면 병원 방문해보시길 권유드려요. 분수토가 하얀 우유빛깔이라면 위장관에서 나온 것이며, 짙은 초록색일 경우 담즙 섞인 구토로 십이지장 이하부의 문제를 추측해볼 수 있어요. 이전에 분수토를 자주 하지 않았던 아기라면, 가까운 소아과 진료 받아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