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열 아기 해열제 후 추가 조치는?
14개월아기 39.8도 고열 . 4시30븐맥시부르팬 복용 목이부은거 같은지 가침할때 소리가 좀 답답해 보이고 코막힘이 있는지 숨쉬는 소리도 코망힌 소리를 냅니다 해녈제 먹인 후 조치할 방법과 지금 병원으로 가야되는지 여부, 그리고 지가 아이한테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잠들어 있는 중이라 오랜시간 물을 안먹었는데 깨워서 물을 먹여야 할까요?
14개월아기 39.8도 고열 . 4시30븐맥시부르팬 복용 목이부은거 같은지 가침할때 소리가 좀 답답해 보이고 코막힘이 있는지 숨쉬는 소리도 코망힌 소리를 냅니다 해녈제 먹인 후 조치할 방법과 지금 병원으로 가야되는지 여부, 그리고 지가 아이한테 어떻게 해줘야 할까요? 잠들어 있는 중이라 오랜시간 물을 안먹었는데 깨워서 물을 먹여야 할까요?
AD
14개월 아기가 39.8도의 고열을 보이고 있다면, 이는 응급 상황일 수 있으므로 신속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아래에 몇 가지 권장 사항을 드리겠습니다.
병원 방문 여부: 아기가 고열(39.8도)과 함께 목이 부은 듯한 증상, 답답한 기침 소리, 코막힘, 숨쉬기 어려운 소리를 보인다면, 이는 상기도 감염(크룹, 편도염 등)이나 다른 심각한 질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숨쉬기가 어려워 보이거나 상태가 악화된다면 즉시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현재 상태로는 병원 방문을 권장합니다. 특히 14개월 아기는 면역 체계가 아직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고열과 호흡기 증상은 신속히 진단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열제 사용: 이미 4시 30분에 맥시부펜(이부프로펜 계열 해열제)을 복용했다면, 추가 해열제는 복용 간격(보통 6~8시간)을 지켜야 합니다. 만약 열이 계속 39도 이상으로 유지된다면, 해열제 복용 간격을 확인한 후 아세트아미노펜 계열(타이레놀 등) 해열제를 교차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의사와 상담 후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수분 섭취: 고열 상태에서는 탈수가 쉽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아기가 잠들어 있다면 억지로 깨우지 않아도 되지만, 깨어난 후에는 물이나 전해질 음료(아이용 포카리 등)를 조금씩 자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기가 깨지 않고 계속 잠만 잔다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가정에서의 조치: 아기의 체온을 낮추기 위해 옷을 가볍게 입히고, 방 안의 온도를 적절히 유지(22~24도)하며, 습도를 50~60%로 유지하세요.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아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차가운 물은 사용하지 마세요. 아기가 숨쉬기 어려워 보인다면, 머리를 약간 높게 해주고, 코막힘이 심하다면 생리식염수 스프레이를 사용해 코를 청소해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주의해야 할 증상: 열이 40도 이상으로 올라가거나, 아기가 의식이 흐려지거나, 경련을 보이거나, 숨쉬기가 더 어려워지는 경우 즉시 응급실로 가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현재 상태로는 병원 방문을 권장하며, 아기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면서 위의 조치를 취해주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답변 감사드려요 처방받은 해열제는 아세핀정 추가처방받은 해열제는 록프렌정 이예요 하루 3번 복용이라고 설명 들었습니다 환자는 초등학생 4학년 이구요 그리고 제가 상비로 가지고 있는 해열제는 유소아 해열제 맥시부 키즈시럽 (덱시부프로펜)이라고 쓰여 있어요
18개월 아기 해열제 복용후 30분뒤 구토를 했는데 붉은색 해열제를 먹였는데 구토는 붉은색이 아주 극소량 나왔어요 현재 39도가 넘는 고열이 지속되는데 약을 추가로 복용해야 할까요?
-아기 코로나 양성 확진 -24일 오후 8시쯤부터 39도 고열상태 지속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계열 해열제 교차 복용시킴 -약먹이고 구토 약 2회 - 응급실 갔으나 별다른 조치없이 해열제만 받음 - 아침에 동네 의원방문해서 코로나 검사 진행 양성 확진 - 이후 해열제 먹이면 일시적으로 열이 떨어지지만 다부분 39도 고열상태 지속중 아기를 데리고 다시 응급실을 가야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