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개월 아기 열이 38.7도, 코로나 의심되어 병원 방문 전 해열제 복용 필요할까요?
남편이 2월27일 코로나확진이였어요 17개월 아기 9.5kg 3월3일 저녁8시30분경 아기 머리뜨거워서 열재보니 38.5도였어요 저녁 9시쯤 38.7도에 아세트아미노펜 먹이구 저녁 11시40분 38.2 까지 떨어지더니 현재38.7도입니다 코로나의심되서 내일오전병원갈건데 자는아기 깨워서 해열제 먹여야할까요?
남편이 2월27일 코로나확진이였어요 17개월 아기 9.5kg 3월3일 저녁8시30분경 아기 머리뜨거워서 열재보니 38.5도였어요 저녁 9시쯤 38.7도에 아세트아미노펜 먹이구 저녁 11시40분 38.2 까지 떨어지더니 현재38.7도입니다 코로나의심되서 내일오전병원갈건데 자는아기 깨워서 해열제 먹여야할까요?
17개월 아기의 경우, 열이 38.5도 이상일 때는 해열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권장됩니다. 남편분이 최근 코로나 확진을 받으셨기 때문에 아기도 코로나에 감염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아기의 체중이 9.5kg이고, 이미 아세트아미노펜을 한 번 투여하셨다면, 투약 간격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의 경우 일반적으로 4~6시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하루 최대 투여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아기가 잠을 자고 있는 상황에서는 해열제를 먹이기 전에 다음 사항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아기의 전반적인 상태: 아기가 편안하게 잠을 자고 있고, 다른 이상 증상이 없다면 깨우지 않고 잠시 더 관찰할 수 있습니다. 2. 해열제 투약 시간: 마지막으로 해열제를 먹인 시간이 4~6시간이 지났는지 확인하세요. 3. 해열제의 하루 최대 투여량: 아기의 체중과 연령에 맞는 하루 최대 투여량을 초과하지 않았는지 확인하세요. 만약 아기가 불편해 보이거나, 열이 계속해서 높게 유지되고, 해열제 투약 시간이 충분히 지났다면, 아기를 깨워서 해열제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아기가 안정적으로 잠을 자고 있고, 다른 위험 신호가 없다면, 내일 아침 병원 방문 전까지 잠시 더 관찰해도 됩니다. 내일 병원 방문 시에는 의사 선생님과 상담하여 아기의 상태를 정확히 평가받고, 필요한 경우 코로나 검사를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4개월 아기 해열제 먹이고 나아졌다 다시 39도 찍고 또 해열제 복용 후 38.3도로 2시간 경과하여 해열제 교차복용 후 또 다시 2시간 지났는데 38도 입니다. 5-6시간동안 38도로 열이 되는데 병원 방문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기 컨디션은 괜찮고 오전 일찍 소아과방문 했었는데 편도가 부어서 열이 많이 날 것 같다고는 했습니다. 아기 컨디션은 또 좋아서 가야할지 고민입니다. 열로 방문하면 해열 관련 수액만 처지해줄까요?
12개월 아기 38도에서 해열제 먹이니 열이 떨어졌습니다.현재 37도 36.7도 나오는데 해열제 다시 먹여야 하나요?
17년 2월생 남아입니다. 기침으로 시작해서 지난 15일에 38도가 넘었고 병원도 방문하여 계속 감기약과 해열제를 먹였었습니다. 17일 저녁에 해열제 먹고 열이 내렸으나 18일 저녁부터 다시 열이 올랐습니다.(38도 이상) 19일에 병원에 방문하여 폐 사진도 찍어보았으나, 폐소리도 괜찮고 많이 호전된것같다고 하였으나 열은 그대로 유지되었습니다. 20일 오전 1시 (새벽), 38도가 넘어서 다시 해열제를 먹었고 오전 9시까지 열도 컨디션도 정상이었습니다만 현재 기준 37.7도까지 다시 오르고 있습니다. 5일간 열이 지속되어 상당히 걱정되는데 다른 검사가 필요한 것일지 아니면 지금처럼 감기약과 해열제를 복용하면 될런지 문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