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우병 환자가 스테로이드 복용 시 혈전이 생기지 않는 이유는?
혈우병 후 천성 인데요 병원 에서 잘 못 해서 는 응고 7번 8번 인가 문제 가 생겨 출혈이 생겨 지혈 되는게 없어서 응고 문제 피 검사 로 수치로 알수 있으며 그런데 스테로이드 먹고 맞으면 혈전이 생기는데 없는 이유가
혈우병 후 천성 인데요 병원 에서 잘 못 해서 는 응고 7번 8번 인가 문제 가 생겨 출혈이 생겨 지혈 되는게 없어서 응고 문제 피 검사 로 수치로 알수 있으며 그런데 스테로이드 먹고 맞으면 혈전이 생기는데 없는 이유가
질문자님의 혈우병과 스테로이드 복용에 관한 궁금증에 답변드리겠습니다.
혈우병 환자는 혈액 응고 인자(7번, 8번 등)가 부족하거나 기능이 저하되어 있어 정상적인 혈전 형성 과정이 어렵습니다. 스테로이드는 일반적으로 혈액을 약간 더 응고시키는 경향이 있어 정상인에게는 혈전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혈우병 환자의 경우, 이미 혈액 응고 시스템에 결함이 있기 때문에 스테로이드가 혈전 형성을 촉진하더라도 정상인만큼 혈전이 쉽게 생기지 않습니다. 즉, 스테로이드의 혈전 촉진 효과가 혈우병 환자의 응고 인자 결핍을 완전히 상쇄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혈우병 치료에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이는 주로 면역 체계를 조절하여 후천성 혈우병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자가항체를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이 과정에서 혈전 형성보다는 면역 조절 효과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후천성 혈우병이라고 하셨는데, 정확한 치료 방향은 혈액 응고 인자 수치와 임상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담당 의사와 상세히 상담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혈우병 의심 진단 소견을 받았는데 혈우병 8번 피검사 수치가 43이 나왔다고 해서요. 정상수치가 50?60-100 사이인데. 좀 부족하다고 하네요. 재 검사하였는데. 수치가 활성수치를 말하는 건가요??
후천성 혈우병 에서 혈액 응고 7번 8번 생겼을때 주의 할 과일 음료 차 중에 무엇이 있는지 시 분 초 걸려도 되 요
혈우병이 잇습니다. 8-9일전 고관절 출혈로 혈우병 약을 맞고 치유된뒤 3-4일전 다시 재출혈이 되어 약을 다시 맞았습니다만 출혈이 제대로. 멎지않아 아이스팩. 찜질과 압박 붕대로 고관절쪽을 압박하였습니다 그후 출혈은 멎었으나 무릎 시린 통증과 고관절 통증(출혈부위는 앞쪽으로 느낌)과 둔부에 시린 통증이 점점 심해져서 현재 걷기가 20미터 가기가 매우 힘든상황입니다. 당장 내일 아침에 정형외과를 가려하는데 한달도 안되는 상황에 뼈가 큰문제가 있을까요..고관절 무릎이 붇거나 하지않고 통증만 잇습니다 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