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H 수치와 난소 기능 저하 관련 질문?
만25세인데 amh 1.8(만37세)나왔습니다 1. 단순히 남은 난자의 개수가 적은걸까요? 아님 평소 배란때도 난포의 수가 적은건가요? 2. 난소기능저하에 해당될까요? 3. 난소기능저하라면 난자의 질과도 연관이 있을까요? 4. 산모 나이가 어려도 임신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수치인가요?
만25세인데 amh 1.8(만37세)나왔습니다 1. 단순히 남은 난자의 개수가 적은걸까요? 아님 평소 배란때도 난포의 수가 적은건가요? 2. 난소기능저하에 해당될까요? 3. 난소기능저하라면 난자의 질과도 연관이 있을까요? 4. 산모 나이가 어려도 임신되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수치인가요?
AD
1. AMH 수치는 난소에 남아 있는 난자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반적으로 남은 난자의 개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해요. AMH 수치가 낮다는 것은 앞으로 배란될 난포의 수가 적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어요. 2. AMH 수치가 낮다면 난소 기능 저하를 의심할 수 있어요. 난소의 나이가 생물학적 나이보다 높게 나타나면 여성의 생식 능력이 그 나이에 비해 낮을 가능성이 있어요. 하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3. 난소 기능 저하가 난자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어요. 난자의 질은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어요. 난소의 기능이 저하되면 난자의 수와 품질이 떨어질 수 있지만, 임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에요. 4. 산모의 나이가 어리더라도 AMH 수치가 낮다면 임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요. 20대 여성은 약 4~5점대를 정상 범위로 보고 있으므로, AMH 수치가 낮다면 임신 가능성이 낮을 수 있어요. 그러나 임신 가능성은 개인마다 다르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인적인 상황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해요. 임신 계획에 대해 상담 받아보시는 것을 권유 드려요.
꼭 확인해주세요.
만27살 여성인데 생리 주기는 일정한 편인데 양이 적어진거 같아서 혹시나 난소기능 저하 가 의심되어 난소검사를 받았는데 제 예상과는 다르게 AMH수치가 7.6나오고 난소 나이가 24~25살로 나와서 황당하네요 ...난소기능저하가 아니라 다낭성 난포 증후군이 아닐까 증상을 찿아보니 생리 주기 일정 하고 양이 많지도 않고 살이찌지도 않고 다낭성 난포증후근은 아닌거 같은데 🤔 한달 전부터 피부과에서 처방받은 탈모약(미녹시딜 피나스테리드 복용해서 AMH수치가 올라갔나??이런 생각도 들고 의사선생님은 생리 주기가 일정하고 생리양이 일정하면 걱정말라고 하시는데 다낭성 난소 증후군 검사를 해야하나요?아님 체질적으로 어머니 유전으로 난소기능이 좋은건가요?(저희 어머님이 4남매를 낳으셨습니다;;)
경구피임약을 9월 12일까지 먹고 중단했는데 그렇다면 10월 21일에 한 난소기능검사 수치인 amh수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수 있나요? 만약 영향을 끼친다면 경구피임약을 중단하고 더 시간이 흐르면 amh 수치가 올라갈 가능성도 있나요??
난소기능검사를 했는데 AMH 3.20 가 나왔습니다. 27살인데 이 정도 수치이면 다낭성난소증후군이랑 임신 확률이 어느정도 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