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금니 크라운재료로 금과 지르코니아 중 어떤 것이 좋을까요?
보이지않는 어금니 크라운재료 금과 지르코니아 두가지중 어떤것으로 해야 좋은가요
보이지않는 어금니 크라운재료 금과 지르코니아 두가지중 어떤것으로 해야 좋은가요
어금니 크라운 재료로 금과 지르코니아 중 선택하는 것은 여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금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재료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나고, 인체에 잘 적응하며, 주변 치아에 대한 마모가 적은 편입니다. 반면, 지르코니아는 최신 재료 중 하나로, 탁월한 강도와 미적인 측면에서 자연 치아와 유사한 색상을 제공합니다. 어금니는 보통 시야에 잘 띄지 않기 때문에 미적인 측면은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르코니아는 금에 비해 더 자연스러운 색을 가지고 있어서, 미적인 부분을 조금이라도 고려하고 싶다면 지르코니아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만약 내구성과 장기적인 안정성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금 크라운을 추천드릴 수 있습니다. 금은 오랜 기간 동안 입증된 재료이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확률이 매우 낮습니다. 그러나 무료상담 서비스는 의사의 진료를 대신할 수 없으므로 임플란트 재료에 대해 고민이 많으시다면 치과 진료 후 충분한 상담을 통해 결정하시는 것을 권유 드려요. 치과 의사는 환자의 구강 상태, 알레르기 여부, 경제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재료를 추천해 줄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어릴 적 떼웠던 오른쪽 위 어금니의 아말감이 떨어졌는데 그대로 지내다보니 떼운게 떨어진 어금니 끝부분이 깨졌습니다. 치과에서 엑스레이 찍어보시더니 깨진 부분이 신경과 가까워서, 신경 치료 후 지르코니아 크라운 씌우자 진단받았습니다. 깨진 부분은 지금 찬 것을 먹으면 크게 시리긴 한데 그 이외에 무언가를 씹거나 할 때 딱히 통증은 느껴지지가 않아 꼭 신경치료까지 필요한 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물론 그대로 방치하면 추가로 더 깨질 수도 있으니 조치는 필요하다는 것은 납득 했지만 신경치료 없이 레진이나 크라운만 씌울 수는 없나 궁금합니다.. 그리고 추가로 크라운 재료로 지르코니아와 금 중 무엇이 더 괜찮을까도 고민입니다. 추천받은 건 지르코니아입니다만 잘 보이지 않는 위쪽 어금니라 금도 괜찮지 않을까 싶어서, 이 부분에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1) 어금니 충치 치료로 Gi랑 레진 중 치아와 재료 간 미세한 틈이 생겨 2차충치가 생길 확률이 더 높은 재료는 뭔가요? 2)제가 오늘 충치진료를 받았는데 26번과 36번 치아에 충치가 있다고 합니다. 즉, 마주보는 2개의 어금니에 충치가 있는 것이죠. 그런데 충치치료 재료로 gi 혹은 크라운을 추천하는겁니다. 레진치료를 생각하고 갔는데 레진을 받으면 이가 시릴수있다는 겁니다. Gi는 잘깨진다하여 꺼려지고 크라운은 아직 24세로 어리고, 올해 치아교정을 앞두고있어 꺼려집니다. 어떻게하는게 좋을까요? 3) 이 상황에 대학치과병원에서 다시 진료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까요?
두번째 어금니를 충치로 금속 크라운을 10일정도 임시로 붙인 상태 입니다. 평소에는 이상이 없었으며 과자를 먹다 씹을때 어금니 중에 하나가 통증이 있었습니다. 첫번째 어금니는 크라운치료와 신경치료를 했고 잇몸이 안좋습니다. 전체적으로 잇몸이 안좋은 편이라 신경 치료를 받는게 좋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