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소티논 복용 후 여드름 지속, 약 교체 필요한가요?
이소티논을 현재 거의 한달째 28일째 하루 한알 복용하고 있는데 먹기전보다 건조해진건 느끼나 아직까지 여드름이 꾸준히 나고 턱쪽에 딱딱한여드름 등등 없어질 생각을 안하는데 계속 먹어봐야할까요 아니면 그냥 저에게 약이 안맞는건가요?
이소티논을 현재 거의 한달째 28일째 하루 한알 복용하고 있는데 먹기전보다 건조해진건 느끼나 아직까지 여드름이 꾸준히 나고 턱쪽에 딱딱한여드름 등등 없어질 생각을 안하는데 계속 먹어봐야할까요 아니면 그냥 저에게 약이 안맞는건가요?
작년 5월부터 이소티논을 1일 1정 복용했고, 60알을 복용한 후 7월부터는 2일 1정, 그 후 3일 1정으로 11월까지 약 150정을 복용한 후, 이소티논을 끊고 스티바 0.025% 연고를 1일 1회 도포했습니다. 그런데 체감상 7월부터 모기 물린 것처럼 가려운 발진이 2~3개가 올라왔다 가라앉았어요. 그때는 근데 여드름이 심했어서 대수롭게 생각하지 않고 계속 이소티논을 먹었습니다. 근데 이 현상이 스티바 연고만 사용할 때도 지속되었고, 발진이 올라와도 도포했습니다. 최근 병원을 가니 전문의는 이소티논과 스티바 연고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피부장벽이 약화되어서 그렇다고 히스티온정, 프론드정을 처방해주었습니다. 현재는 이소티논, 스티바 연고를 중단한 지 2달 정도 되었는데 의사는 장벽 회복까지 시간이 더 필요할거래요. 약을 쓰기 전에는 이렇게 가려운 발진이 없었던 것 같은데 시간이 지나면 피부는 다시 회복될 수 있을까요? 장벽이 무너졌음에도 너무 약을 오래 써서 시간이 더 필요할까요?
이소티논 복용을 3주 정도 끊었다가 다시 여드름이 올라오기 시작해서 비대면으로 이소티논만 처방받아 일주일 째 복용하였으나 여드름이 가라앉지 않았습니다. 다른 약을 먼저 처방받아야 하나요?
화농성 및 농포성 여드름으로 인한 이소티논 약 한달간 복용 하였는데 부작용(무기력, 피곤, 관절통증)으로 인해 복용 중단하였습니다. 이후 여드름 재발하여 항생제 계열만 지속적으로 복용중입니다. 클래리드정250mg 베스티온정 메프레정4mg 라푸그린정10mg 입니다. 해당 약 1주일 복용하면 여드름이 많이 완화되며 약효과 2~3주 갑니다. 이후 여드름 재발 되어 또 1주일 정도 복용하고 멈추고 현재 이렇게 복용하는걸 지속적으로 유지중인데 괜찬은 복용량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