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이 된 후 갑자기 2.25 디옵터 근시 발생, 병적 근시인가요?
어릴때 근시가 없었고 안구 성장이 끝나고 성인이 된후 근시가 생긴경우 2.25 디옵터32세 병적 근시 인가요? 안과에서는 ( 근시가 있네요 ) 라는 말만하고 진행성인지 아닌지 모르겠네요. 성인이 안과에서 근시가 있네요 라고 말하면 병적 근시 인가요? 아니면 진행성 근시 일까요?
어릴때 근시가 없었고 안구 성장이 끝나고 성인이 된후 근시가 생긴경우 2.25 디옵터32세 병적 근시 인가요? 안과에서는 ( 근시가 있네요 ) 라는 말만하고 진행성인지 아닌지 모르겠네요. 성인이 안과에서 근시가 있네요 라고 말하면 병적 근시 인가요? 아니면 진행성 근시 일까요?
성인이 된 후에 갑자기 2.25 디옵터의 근시가 발생했다고 하셨군요. 병적 근시는 단순히 근시의 도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안구의 길이가 비정상적으로 길어지면서 망막이나 시신경 등에 여러 가지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병적 근시는 -6.00 디옵터 이상의 고도근시에서 관찰되는 경우가 많으며, 안구의 구조적 변화가 동반됩니다. 성인이 된 후에 근시가 발생한 경우, 이는 보통의 소아기나 청소년기에 발생하는 근시와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근시가 있네요"라는 말만으로는 병적 근시인지, 진행성 근시인지, 아니면 일반적인 근시인지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진행성 근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근시의 도수가 계속 증가하는 상태를 말하며, 이는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안과 의사가 근시의 진행성 여부에 대해 명확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면, 다음과 같은 정보를 추가로 문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근시의 도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지 여부 2. 안구의 길이 측정 및 망막 검사를 통해 병적 변화가 있는지 여부 3.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근시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 진단과 관련된 더 정확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안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자세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적절한 관리 방법이나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어릴때 근시가 없었고 안구 성장이 끝나고 성인이 된후 근시가 생긴경우 2.25 디옵터32세 병적 근시 인가요? 안과에서는 ( 근시가 있네요 ) 라는 말만하고 진행성인지 아닌지 모르겠네요. 성인이 안과에서 근시가 있네요 라고 말하면 병적 근시 인가요? 아니면 진행성 근시 일까요 과도한 근거리 작업이 많았습니다.
어릴땐 근시가 없었습니다. 안구 성장이 끝난 성인 32세 2.25 디옵터 굴절성 근시 일까요? 성인이 굴절성 근시가 생겼다면 이경우 시간이 지나 굴절성 근시가 고도근시로 가면 병적 근시가 될수도 있나요?
성인은 근시 진행이 안된다고 하는데 성인이 근시가 있지만 조금씩 진행 할수도 있나요? 근거리 작업으로 인해서 현재 2.25 디옵터 진행성 근시는 병적 근시라고 하는데 병적 근시가 아니라면 경도에서도 근거리 작업이 많으면 조금씩 진행이 되기도 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