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액을 빠르게 맞아도 건강에 문제 없나요?
안녕하세요 교통사고로 입원 하고 저녁 5시쯤 1리터 수액 근이완제 섞였는걸 맞았어요 근데 8시30분쯤 1리터를 다 맞고 뺏는데.. 너무 빨리맞은건 아닌가요.. 이렇게 맞아도 되는건가요 건강에 문제가 되지는 않나요..
안녕하세요 교통사고로 입원 하고 저녁 5시쯤 1리터 수액 근이완제 섞였는걸 맞았어요 근데 8시30분쯤 1리터를 다 맞고 뺏는데.. 너무 빨리맞은건 아닌가요.. 이렇게 맞아도 되는건가요 건강에 문제가 되지는 않나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사고로 입원까지 하셨는데 수액 속도까지 신경 쓰이셨을 걸 생각하니 많이 지치고 불안하셨을 거 같아요.
문의 주신 부분에 대해 안내 드릴게요.
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1리터 수액을 3시간 반 정도에 맞은 건 일반적인 속도 범위에 해당하며, 건강에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아요.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보통 1리터 수액을 맞는 속도는 약 3시간에서 4시간 사이로 설정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근육통 완화나 회복 목적의 수액이라면 수분과 함께 전해질, 근이완제나 진통제 성분이 소량 포함될 수 있는데요, 이런 약물은 일정 농도로 희석되어 주입되기 때문에 3시간 반에 다 들어간 경우는 일반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 있어요.
또한 수액 속도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조절돼요.
예를 들어 심장이나 신장 기능에 큰 문제가 없다면 조금 빠르게 맞는다고 해서 몸에 큰 무리가 가지는 않아요.
반대로 기저질환이 있거나 고령, 심장 질환 병력이 있는 경우엔 속도를 더 늦춰야 할 수 있어서 의료진이 환자 상태를 보며 결정하게 돼요.
병원에서 간호사나 의사가 세팅한 속도였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혹시 수액 후에 손이나 발이 붓거나, 숨이 가쁘고 가슴이 답답하다든지, 두통이나 어지럼증 같은 증상이 있다면, 그건 수액을 맞은 이후에 대한 반응일 수 있으니 담당간호사에게 꼭 말씀 주시는 게 좋아요.
하지만 그런 증상 없이 평소와 비슷하거나 약간 나른한 정도라면 일시적인 반응일 가능성이 높아요.
많이 불안하고 걱정되실 수 있겠지만, 너무 걱정하지는 마시고 몸 상태 잘 관찰하면서 필요하면 간호사나 주치의에게 언제든 문의 주시면 돼요.
수액 속도는 의료진이 상황에 따라 조절하는 부분이니 염려하지 않으셔도 괜찮아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냉방병과 감기 구분법? 냉방병 증상부터 원인, 치료법, 예방법까지 알려드릴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최근 위장 장애가 심해서 제한된 식사를 하고 걷기 운동을 많이 해서 그런지 오늘 저녁에 저혈당 증상이 심하게 나타났습니다. 수액을 맞으려고 생각중인데 병원에서 수액을 매일 맞아도 뭄제가 없을까요?
초등학생 어린이 코로나 몸살, 고열로 어제 수액을 맞았는데요. 열이 떨어졌다 다시 오르고 있어요. 수액은 어떤원리로 열을 떨어트리나요? 자주맞으면 건강에 좋지 않은가요? 수액에 대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위도 답답하고 배에 가스 차고 가슴 밑에 좀 부은가 같고 여러문제로 수액 맞아도 약 먹어도 해결이 안되서 계속 눈물 흘렸는데 이런거도 건강에 지장이 가나요…. 안 나아서 너무 힘들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