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기능저하증으로 인한 쪼그라든 갑상선, 다른 병원 추가 확인 필요한가요?
갑상선이 쪼그라들었다고 다른병원에서도 추가 확인해 보라 하는데. 쪼그라 든다는 말이 무슨 이유및 특별한 사항없이 기능저하증 인지 궁금합니다.
갑상선이 쪼그라들었다고 다른병원에서도 추가 확인해 보라 하는데. 쪼그라 든다는 말이 무슨 이유및 특별한 사항없이 기능저하증 인지 궁금합니다.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충분히 생산되지 않아 발생하는 상태입니다. 갑상선이 "쪼그라든다"는 표현은 갑상선의 크기가 줄어들었다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갑상선염, 자가면역 질환, 방사선 치료, 수술 후 상태, 또는 장기간의 요오드 결핍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의 크기 변화는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기능저하증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추가적인 혈액 검사, 항체 검사, 때에 따라서는 세포 조직 검사(세침 흡인 검사)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병원에서 추가 확인을 권유받았다면,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위해 두 번째 의견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거나,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또는 갑상선의 구조적 변화가 관찰되는 경우에는 전문적인 내분비내과 의사의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갑상선 기능저하증의 원인과 갑상선의 크기 변화를 정확히 평가받기 위해 다른 병원에서의 추가 검사를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추적관찰 하라고 하였다면, 권장 기간에 맞춰 정기 검진 해주시면 돼요 :)
꼭 확인해주세요.
갑상선기능검사를 했는데 tsh가 4.850이 나와서 경계성에 걸쳐있는 갑상선기능저하증이라는데 이상태도 갑상선기능저하증에 걸렸다 생각하면 되는건가요? 그리고 원인을 알고싶은데 이럴땐 어떤 검사를 받나요? 갑상선기능저하증의 대부분이 하시모토갑상선염이라는데 이거는 대부분 만성적이라고 들어서요 그리고 하시모토갑상선염의 증상은 뭔가요? 하시모토갑상선염에 걸리고 바로 갑상선기능저하증이 나타나는건 아니죠?
안녕하세요 원장님 저는 아급성 갑상선염 진단을 받고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왔었습니다 몇개월 뒤 방금 내과 가서 피검사 결과를 확인하였는데 갑상선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아급성 갑상선염 진단받으면 항진증 ->저하증->정상 이수치로 돌아온다는데 저는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안온거 같아요 아급성 갑상선염->갑상선기능항진증->정상 이렇게 되었는데 아급성갑상선염 걸렸을때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 안오고 바로 정상으로 돌아오는 경우도 있나요?
갑상선 기능저하증으로 진단받은건 아니지만 갑상선 저하증의 위험성이 있다면 자가치료가 가능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