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 측정 중 팔 저림이 생긴 원인은?
아네로이드 혈압 측정하고 있었는 데, 바늘이 140 부근 지점에 다다랐을 때 팔이 저릿거리기 시작했습니다. 측정 이후 저릿함이 약해지긴했으나 3분정도 지속되서 무슨 문제있나 궁금합니다. 기립성 빈맥, 목디스크 있습니다.
아네로이드 혈압 측정하고 있었는 데, 바늘이 140 부근 지점에 다다랐을 때 팔이 저릿거리기 시작했습니다. 측정 이후 저릿함이 약해지긴했으나 3분정도 지속되서 무슨 문제있나 궁금합니다. 기립성 빈맥, 목디스크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내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혈압 측정 중 팔이 저릿거리는 현상은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이는 혈압계의 커프가 팔을 꽉 조이면서 일시적으로 혈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특히 혈압이 140 부근에 도달했을 때 저릿함을 느끼셨다면, 이는 커프의 압력이 최고조에 이르러 혈액 순환이 더욱 제한되었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측정이 끝나고 커프가 풀리면 이러한 증상은 곧바로 사라지지만, 질문자님의 경우 3분 정도 지속된 것은 다소 길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질문자님께서 목디스크가 있다고 하셨는데, 이 또한 팔 저림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목 디스크로 인해 신경이 눌리면 팔로 이어지는 신경에 영향을 주어 저림이나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압 측정 시 팔의 위치나 자세가 목 디스크 증상을 일시적으로 악화시켰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만약 이러한 저림 증상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심해진다면, 혈압 측정 방법을 조정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커프의 크기가 적절한지 확인하고, 너무 꽉 조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그래도 증상이 지속된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목디스크와의 연관성이나 다른 원인이 있는지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팔꿈치터널증후군이 있는데 혈압측정기로 측정해도되나요? 혈압측정기로 혈압재면 팔이터질듯이 아프고 손이 저리던데 왜이러나요?
베아나제 정과 기넥신 정 복용 후 수축기 혈압은 116 이완기 혈압은 98 로 측정 됩니다. 이완기 혈압 괜찮을까요? 약은 가슴 답답하고 조이는 느낌과 팔다리 저리고 차가워지는 증상 때문에 복용하였습니다
1주일 전 갑상선중독으로 입원을 했었습니다. 입원 3일차쯤에 갑자기 혈압이 206/95 정도까지 높게 나와 페르디핀을 맞고 혈압이 돌아왔습니다. 퇴원하며 노바스크를 처방 받았고, 가정혈압을 체크하며 혹시 괜찮으면 안먹어도 된다고 하셔서 퇴원 후 혈압을 재며 체크하고 있는데, 조금 컨디션이 안좋을때는 오른팔에 혈압을 재면 최고혈압 감지 불가 에러가 뜨고 왼팔에 혈압을 재면 130/80정도로 괜찮게 나옵니다. 양쪽 차이가 이렇게 많이 날수있나요? 그리고 혈압을 한번 재고나면 이렇게 몸에 상처가 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