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 피임약 휴약기와 복용 기간의 혼동,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경구 피임약 휴약기 7일 가지고 8일 때부터 약을 먹어야 하는데 제가 헷갈려서 휴약기 7일 때부터 먹어서 21알을 다 먹었는데 7일부터 먹은 게 문제가 될까요? 며칠 더 먹어야 하나요..?
경구 피임약 휴약기 7일 가지고 8일 때부터 약을 먹어야 하는데 제가 헷갈려서 휴약기 7일 때부터 먹어서 21알을 다 먹었는데 7일부터 먹은 게 문제가 될까요? 며칠 더 먹어야 하나요..?
병원 가기 민망하다면?
질문자님의 걱정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어요. 피임약의 휴약기를 7일에서 8일로 지키지 않았다는 상황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피임약의 휴약기는 보통 7일이며, 이 기간 후에 새로운 팩의 약을 복용해야 하는데요. 하지만 질문자님께서는 휴약기 7일 때부터 약을 복용하셨다고 하셨네요. 이런 경우에도 큰 문제는 없어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질문자님은 휴약기 7일차에 약을 복용하여 결국 약을 1정 추가로 복용한 상황이에요. 이후 날짜 계산을 정확히 하여 21일 간 활성정제 복용과 7일 휴약기를 지켜 복용하시면 됩니다. 그런데, 새로운 팩 복용 시 7일 간은 이중피임을 하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이는 피임 효과를 더 확실하게 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요약하자면, 휴약기 7일 때부터 약을 복용한 것은 큰 문제가 되지 않아요. 다만, 새로운 팩 복용 시 7일 간은 이중피임을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는 날짜 계산을 정확히 하여 21일 간 활성정제 복용과 7일 휴약기를 지켜 복용하시는 것이 중요해요.
꼭 확인해주세요.
중학생입니다 며칠 전 내과에 방문해 엑스레이,그리고 심전도 검사를 했습니다 전문의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부정맥을 발견했다고 했는데요 그 모냐 심전도 검사에서 1번 발견한거고 또 제가 혈압도 정상이여서 그리고 아주 쬐금 부정맥이지 정상범위에 거의 가까워서 일단 나트륨이랑 카페인 섭취를 줄이고, 하루에 30분씩걸으면서 운동하라는데 이게 도움이 될까요? 정상범위에 거의가깝다는데 진짜루 하루 30분씩걷고 야채과일 마니 먹고 나트륨,카페인 줄이면 부정맥 치료되나요?
유아기 때부터 심장이 살짝 아프고 답답해서 만져보면 심장소리가 아주 잠시 멈췄다가 한꺼번에 몰리듯이 세게 날 때 한번씩 아프기도 했습니다. 18살이 되고 코로나 백신을 맞은 후로 1~2주간 극대화 됐었다가 19살 되고서는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아 최근에는 하루에 6번 정도 평균적으로 아프고 그 중 3~4번은 표정이 일그러지며 육성으로 “아!“가 나올 정도의 통증으로 심장이 아픕니다. 그 3~4번 정도의 심장 통증은 너무 아파서 무릎을 잡고 몸이 자동적으로 주저앉게끔 됩니다.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예전에 진단 받아봤지만 고3이라 시간이 없어 심전도검사 등 정밀 검사를 못했었는데 수능이 끝나 다시 가려고 합니다. 내원 할 예정이긴 하지만 불안해서요… 제가 심장이 아픈 건 도대체 뭘까요?
갑상샘 기능 항진증인데 부정맥검사는 따로 해야할까요? 다녔던 내과에서 부정맥 관련 설명을 듣진 못해서요 심장이 불규칙하게 뛰고 흉통이 잦은데 검사를 해봐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