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감기로 약 복용 후 저녁에 열이 더 높아졌어요, 응급실 방문이 어려울 때 대처법은?
초등6학년 학생인데 열이 많이 나서 낮에 병원에 가서 열감기로 약을 지어왔는데 저녁이 되니 열이(38.8) 더 많이 나서요 요즘은 응급실가도 쉽게 지뇨가 되지 않아서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초등6학년 학생인데 열이 많이 나서 낮에 병원에 가서 열감기로 약을 지어왔는데 저녁이 되니 열이(38.8) 더 많이 나서요 요즘은 응급실가도 쉽게 지뇨가 되지 않아서요 이럴땐 어떻게 해야 하나요?
열이 38.8도까지 올라간 상황이라면 우선 아이를 편안하게 하고 열을 내리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응급실 방문이 어려울 때 다음과 같은 대처법을 시도해보세요. 1. 충분한 휴식: 아이가 충분히 쉴 수 있도록 해주세요. 활동을 줄이면 체온이 상승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 수분 섭취: 열이 나면 땀을 많이 흘려 탈수가 쉽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물이나 이온 음료를 자주 마시게 해서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하세요. 3. 옷차림: 두꺼운 옷이나 담요는 체온을 더 올릴 수 있으므로, 가벼운 옷으로 갈아입히는 것이 좋습니다. 4. 물수건: 미지근한 물에 적신 수건으로 이마나 목덜미, 겨드랑이, 사타구니 등을 닦아주면 체온을 조금 낮출 수 있습니다. 5. 해열제: 병원에서 처방받은 해열제가 있다면 지시된 용법과 용량에 따라 복용하도록 하세요. 이미 복용했는데도 열이 내리지 않는다면 복용 시간을 확인하고 다음 복용 시간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만약 복용해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처방 약에 포함 된 해열제와 다른 성분의 해열제를 복용시켜 열을 떨어뜨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이부프로펜 성분의 약이 포함되어 있다면,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을 복용 시키시면 돼요. 6. 증상 관찰: 열 외에 다른 증상이 있는지, 열이 계속 상승하는지 등을 관찰하세요. 만약 아이가 호흡곤란, 의식 저하, 지속적인 구토, 발진, 경련 등의 심각한 증상을 보이거나 열이 39도 이상으로 계속 상승한다면 즉시 의료 기관에 연락하거나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또한, 열이 48시간 이상 지속되거나 다른 우려되는 증상이 동반된다면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감기증상있다가 열이 38.6까지 올라가길래 약먹고 잤는데요 ㅠㅠ 저고 일어나니 열이 안떨어지고 손발이 저려요 반지낀 손가락이 퉁퉁 불어서 잘 안빠졌고 몇분간 계속 쥐가 난듯하네요 ㅠㅠ 왜이러죠ㅠㅠㅠ 너무 찌릿찌릿 거리고 열도 안떨어져서 힘들어요 고등학생입니다 응급실 가야할정도인가요? 지금 온도는 38.3입니다
어제부터 감기몸살 증세가 있어서 오늘 병원 다녀와서 처방받았어요. 약 안 먹고 깜빡 잠들었다가 몸이 떨리고 뜨거워서 깨서 12시 40분에 저녁약 먹고 다시 잠들었다가 2시에 몸에서 열 나는 게 느껴져서 또 깨서 처방받은 약 중 해열진통제 하나를 더 먹었어요 지금 약먹은지 40분~50분 정도 지났는데 몸 전체적으로 미열이 있고 귀쪽은 38.4도 정도 나와요 열이 안 떨어져서 잠도 못자겠어요 응급실 가야하나요?
열이 갑자기 39.7도여서 해열제 먹고 39도로 떨어졌는데 응급실 가야할까요? 머리가 울리고 귀가 웅웅 거리고 너무 추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