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돔으로 STD12종 성병 예방 가능하며, 잠복기 7개월 후 발현 가능한가요?
상대방이 STD12종 성병에 여러가지 걸렸다해도. 콘돔을 사용하면 std12종 성병은 어느정도는 막을수 있나요? 그리고 잠복기가 7개월 있다가 발현되기도 하나요?
상대방이 STD12종 성병에 여러가지 걸렸다해도. 콘돔을 사용하면 std12종 성병은 어느정도는 막을수 있나요? 그리고 잠복기가 7개월 있다가 발현되기도 하나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산부인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콘돔은 성병 예방에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수단 중 하나로, 95% 이상의 균을 통한 전염을 예방해줍니다. 그러나 콘돔이 100% 완벽하게 모든 성병을 예방하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피부 접촉을 통해 전파되는 헤르페스나 사마귀(인유두종 바이러스)와 같은 성병은 콘돔이 완전히 덮지 않는 부위를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성병의 잠복기는 각 성병의 유형에 따라 다르며, 일부 성병은 몇 주 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다른 성병은 몇 달 또는 그 이상의 잠복기를 가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트리코모나스나 칸디다 같은 경우는 성관계 다음 날부터 즉시 감염 여부를 알 수 있지만, 클라미디아나 임질은 2~3일 후, 헤르페스는 2~10일 후, 매독은 4주가량 후, 콘딜로마는 3주~8개월 후가 적합한 검사 시기입니다. 따라서 잠복기가 7개월인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성병의 잠복기 동안에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지만, 감염된 사람은 여전히 다른 사람에게 성병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기적인 성병 검사와 안전한 성관계를 통해 성병의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상대방이 성병에 감염되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 콘돔 사용 외에도 추가적인 예방 조치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hpv 바이러스 말고 std12종 검사하면 나오는 성병들은 콘돔으로 어느정도 예방이 가능한가요?
Std 12종 4주 6주 12주 6개월 7개월 8개월이 지나고 std12종 검사에서 모두 정상으로 나오는데 또한 혈액검사 정액검사등 모두 음성이였습니다. 그런데 오늘 소변검사에서 염증이 조금있다고 합니다. 정계정맥류2기도 판정받았는데 혹시 소변에 염증이있으면 성병일 가능성이 있을까요? 병원은 같은 곳이아닌 여러곳에서 검사를 받았습니다.
Std 12종 성병검사를 의심되는 성관계 11일 후에 하는것도 성병 양성 음성 판정이 제대로 나오나요? 헤르페스 같은 경우는 잠복기때문에 나중에 받아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