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여성질환]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매독 검사 결과와 자가면역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해 걱정이 많으신 것 같습니다. 매독 검사에서 RPR은 비특이적 항체를 검출하는 검사로, 매독 감염을 스크리닝하는 데 사용됩니다. TPLA 검사는 매독균에 대한 특이적 항체를 검출하는 보다 구체적인 검사입니다.
매독 검사에서 RPR과 TPLA 모두 양성이 나왔다면, 매독 감염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Abs IgM과 IgG가 음성이라면, 최근에 감염된 것은 아닐 가능성이 있습니다. 매독은 초기 감염 후 몇 년이 지나도 항체가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과거에 감염되었던 적이 있다면 이것이 현재의 양성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과 매독 검사 결과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일부 자가면역질환에서 비특이적 항체가 생산되어 RPR 검사에서 위양성 결과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TPLA는 매독균에 대한 특이적 항체를 검출하기 때문에, 이 검사의 위양성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섬유근육통과 같은 염증성 질환은 RPR 검사에서 위양성을 일으킬 수 있지만, TPLA 검사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낮습니다.
최근 7개월 동안 성관계가 없었다면, 과거의 감염이나 다른 원인에 의한 위양성 결과일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에서의 정밀 검사를 통해 보다 명확한 진단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자가면역질환 검사도 함께 진행하신다면, 매독 검사 결과와의 관련성을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걱정이 많으시겠지만, 대학병원에서의 정밀 검사 결과를 기다리시면서, 필요하다면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