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처난 손으로 아기 대변 닦아도 감염 위험 있나요?
17주차 임산부 손이 상점이 대각선으로 베여서 상처가 난상태 피가 흐르는 상처는 아니였음 분홍빨간빛 속살이 보이는 상태에서 아기대변을 실수로 상처난 손으로 위아래로 두번 닦아줌 바로 핸드워시로3-5초간 닦고 아기 다 케어한후 10초 핸드워시로 닦고 5초 흐르는물에 상처난 부위 헹굼 깊은 상처는 아닌데 혹시 문제가 생길까요? 그리고 뱃속에 있는 태아에게도 문제가 생기나요?
17주차 임산부 손이 상점이 대각선으로 베여서 상처가 난상태 피가 흐르는 상처는 아니였음 분홍빨간빛 속살이 보이는 상태에서 아기대변을 실수로 상처난 손으로 위아래로 두번 닦아줌 바로 핸드워시로3-5초간 닦고 아기 다 케어한후 10초 핸드워시로 닦고 5초 흐르는물에 상처난 부위 헹굼 깊은 상처는 아닌데 혹시 문제가 생길까요? 그리고 뱃속에 있는 태아에게도 문제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실시간 의료 상담 의료진입니다.
임신 중 손에 상처가 발생한 상태에서 해당 내용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아요.
먼저, 상처 부위가 깊지 않고 피가 흐르지 않는 상태라면 기본적으로 감염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대변처럼 세균이 많고 오염 가능성이 높은 물질이 상처에 닿았기 때문에,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매우 중요합니다.
사용하신 핸드워시로 3~5초 정도 세척하고 아기 케어 후 10초 이상 다시 씻은 것, 그리고 흐르는 물로 헹군 것은 감염 위험을 크게 줄이는 올바른 초기 대응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상태에서는 상처 부위에 세균이 침투해 염증을 일으키지 않도록 깨끗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임산부의 손 상처 감염은 일반 감염과 유사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상처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필요시 소독을 해 주는 것이 좋으며, 만약 상처가 붓거나 심한 통증, 고열 같은 감염 증상이 있으면 병원으로 방문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습니다.
파상풍에 대한 걱정도 들 수 있는데, 파상풍은 주로 녹슨 철 등 오염된 환경에 깊은 상처가 났을 때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가벼운 베임 상처라면 예방접종력이 있다면 위험도 낮은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 예방접종 시기를 기억하고, 혹시 오래되어 접종력이 불분명하면 진료를 받아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말씀드리면, 임산부의 손 상처 감염이 태아에게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볼 수 있습니다.
태아는 자궁 내에서 양수와 태반막으로 보호받고 있기 때문에, 국소적인 손 상처 감염이 곧바로 태아 감염으로 이어지는 일은 흔치 않습니다.
그러나 임신 중에 전신적으로 심한 감염이 생기거나 고열 등 임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황이 지속되면 태아 건강에 위험이 될 수 있으므로, 상처를 통한 감염을 예방하는 것은 임산부와 태아 모두에게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아기 대변을 상처 난 손으로 닦은 행위 때문에 감염 가능성을 걱정하실 수 있지만, 이미 손을 바로 세척하셨기 때문에 감염 확률을 상당히 줄인 상태로 보입니다.
대변에는 여러 종류의 세균이 있지만, 외부에서 손 상처로 침투해 감염을 일으키려면 상처가 깊고 오염 정도가 심해야 하므로, 간단한 베임 정도라면 위험이 높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임신 17주차에 손에 난 얕은 상처에 아기 대변이 닿은 경우라도, 이미 적절한 세척을 했고 상처가 깊지 않다면 큰 문제로 발전할 가능성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태아에게 직접적인 영향이 생길 위험성도 거의 없으나, 상처 감염 예방을 위해 청결 관리와 감염 징후 모니터링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만일 상처 부위에 이상이 있거나 임신 중 불안감이 크다면, 피부과나 외과, 산부인과 진료를 통해 상태를 확인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면역력이란? 면역력 저하 원인과 높이는 방법을 정리해 알려드릴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이거 멸균생리식염수 맞나요? 감염위험 많은 상처부위 닦으려고요
녹슨 커터칼에 베여 깊지 않은 상처가 났는데 파상풍 감염의 위험이 있을까요? 병원에 방문해야 할까요? 사진에서는 잘 안보이지만 살짝 피가 났고 베이자마자 알코올솜으로 닦아냈습니다
제가 길고양이를 쓰다듬다가 고양이가 공격을 했는데 피해서 외관상의 상처는 안 났어요. 그런데 아침에 손가락에 상처가 났었는데 그냥 냅두고 밴드나 연고를 안 바르고 상처가 있는 손으로 고양이를 만졌어요. 30분 정도 지나고 집 가서 비누로 씻고 연고를 발랐어요. 현재 붓거나 아픈 증상은 없는데, 고양이가 공격해서 상처가 나지 않고, 손가락에 상처가 작게 있어도 감염의 위험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