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에 의해 혈관에 찔린 후 팔목이 시큰거리고 저릿한 경우, 병원 재방문이 필요한가요?
대학병원에서 간호사가 혈관에 뭘 꽂는다고 계속 찔렀는데(제 혈관이 엄청얇대요) 퇴원하고 집에오니까 며칠동안 계속 팔목이 시큰거리고 저릿한데 병원을 또 가야 할까요??
대학병원에서 간호사가 혈관에 뭘 꽂는다고 계속 찔렀는데(제 혈관이 엄청얇대요) 퇴원하고 집에오니까 며칠동안 계속 팔목이 시큰거리고 저릿한데 병원을 또 가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주사 처치에 의한 통증이나 불편감은 대게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지만 저린 감각이 심하다면 처치를 받은 병원에 다시 내원하여 주사 처치 부위에 대해 확인 받아 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해외에서 병원에 왔는데 간호사가 혈관을 너무 못잡아 피를 못 뽑는 경우거 있습니다. 영어로 혈관를 잡 찾아서 피를 잘 채혈하는 사람에게 하고 싶다고 어떻게 말하면 될까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뭔가에 찔림사고에서, #0. 주사바늘이 아닌, 침이나 바늘 혹은 압정이고, #1. 찔렸다는 통증이 없고, #2. 찔린 자국 부위에 대해서 부정확하고, #3. 찔린 자국 부위에서 피자국이 없고, 또한 #4. 예상되는 부위를 압박해도 소량의 출혈도 나오지 않았다는 의미는 찔렸더라도 혈관까지 들어간 것이 아니여서, 그 찔림부위에 여타 질환의 감염자의 혈액이 묻어 있더라도, 혈관에 침습을 하지 않아서, 혈액에 의한 감염 질환은 걱정 할 필요가 없는지요? 실은 지금 그게 제일 무섭습니다. 즉 피가 나지 않았다는 건 혈액에 의한 감염문제는 배제해도 되는건지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뭔가에 찔림사고에서, #0. 주사바늘이 아닌, 침이나 바늘 혹은 압정이고, #1. 찔렸다는 통증이 없고, #2. 찔린 자국 부위에 대해서 부정확하고, #3. 찔린 자국 부위에서 피자국이 없고, 또한 #4. 예상되는 부위를 압박해도 소량의 출혈도 나오지 않았다는 의미는 찔렸더라도 혈관까지 들어간 것이 아니여서, 그 찔림부위에 여타 질환의 감염자의 혈액이 묻어 있더라도, 혈관에 침습을 하지 않아서, 혈액에 의한 감염 질환은 걱정 할 필요가 없는지요? 실은 지금 그게 제일 무섭습니다. 즉 피가 나지 않았다는 건 혈액에 의한 감염문제는 배제해도 되는건지요? 그리고 붓기나, 통증 및 열감등이 없다면 혈액에 의한 감염은 배제를 해도 상관없는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