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에 의해 혈관에 찔린 후 팔목이 시큰거리고 저릿한 경우, 병원 재방문이 필요한가요?
대학병원에서 간호사가 혈관에 뭘 꽂는다고 계속 찔렀는데(제 혈관이 엄청얇대요) 퇴원하고 집에오니까 며칠동안 계속 팔목이 시큰거리고 저릿한데 병원을 또 가야 할까요??
대학병원에서 간호사가 혈관에 뭘 꽂는다고 계속 찔렀는데(제 혈관이 엄청얇대요) 퇴원하고 집에오니까 며칠동안 계속 팔목이 시큰거리고 저릿한데 병원을 또 가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주사 처치에 의한 통증이나 불편감은 대게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지만 저린 감각이 심하다면 처치를 받은 병원에 다시 내원하여 주사 처치 부위에 대해 확인 받아 보시는 것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사진과 같이 다리나 팔목에 혈관이 부각됩니다 다리는 초록색 혈관이 육안 상 갑자기 잘 보이고 팔목은 왼쪽 팔목이 혈관이 사진처럼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나아졌다가 튀어나왔다가 반복합니다) 1. 피임약 멜리안 3개월차인데 영향 있을까요? 2. 왼쪽 팔목의 경우 지난주 혈액검사한다고 사진 처럼 혈액 많이 뽑고 지금 멍이 다 낫지 않은 상태인데, 혹시 이거 때문에 혈액이 잘 순환이 안돼서 팔목 핏줄이 튀어나올수도 있나요? 3. 그리고, 길랑바레 증후군 완치 4년차인데 혹시 이런 증상 후에 재발되진 않겠죠..?
해외에서 병원에 왔는데 간호사가 혈관을 너무 못잡아 피를 못 뽑는 경우거 있습니다. 영어로 혈관를 잡 찾아서 피를 잘 채혈하는 사람에게 하고 싶다고 어떻게 말하면 될까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뭔가에 찔림사고에서, #0. 주사바늘이 아닌, 침이나 바늘 혹은 압정이고, #1. 찔렸다는 통증이 없고, #2. 찔린 자국 부위에 대해서 부정확하고, #3. 찔린 자국 부위에서 피자국이 없고, 또한 #4. 예상되는 부위를 압박해도 소량의 출혈도 나오지 않았다는 의미는 찔렸더라도 혈관까지 들어간 것이 아니여서, 그 찔림부위에 여타 질환의 감염자의 혈액이 묻어 있더라도, 혈관에 침습을 하지 않아서, 혈액에 의한 감염 질환은 걱정 할 필요가 없는지요? 실은 지금 그게 제일 무섭습니다. 즉 피가 나지 않았다는 건 혈액에 의한 감염문제는 배제해도 되는건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