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영상의학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뇌 MRI에서 "3mm focal cystic lesion in right pituitary gland"라는 결과가 나왔다면, 이는 뇌하수체에 작은 낭성 병변이 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partial volume (pseudolesion) vs. pituitary lesion"이라는 표현은 두 가지 가능성을 비교하는 것입니다.
-
Partial volume effect (pseudolesion): 이는 MRI 촬영 시 발생할 수 있는 현상으로, 실제로 병변이 없지만 촬영 각도나 해상도 때문에 병변처럼 보일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
Pituitary lesion: 실제로 뇌하수체에 병변이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추가로 뇌하수체 MRI를 촬영했는데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이는 첫 번째 가능성인 "partial volume effect"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3.0T MRI는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제공하므로, 추가적인 병변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MRI 장비의 문제보다는 실제로 병변이 없을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적으로, 현재로서는 큰 걱정을 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거나 걱정이 계속된다면 주치의와 상의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고려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검사 결과에 대한 불안감이 크시다면, 검사 영상을 복사하여 상급병원으로 내원하여 확인 받아 보실 것을 권장드립니다. 신경과 전문의의 소견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하고 파인튜닝한 건강 정보 AI의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