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도 배관 시술 후 퇴원 후 2일째 쑤시는 느낌, 진통제 복용 필요할까요?
황달로 입원하여 담도 배관 시술 환자입니다. 퇴원하면서 진통제를 받지 않았는데 퇴원 후 2일 지나서 갈비뼈(시술한 배관쪽)부위와 등 부분이 살살 쑤시는 느낌듭니다. 진통제를 먹어야 할까요? 약국에서 진통제를 사서 먹어도 되나요?
황달로 입원하여 담도 배관 시술 환자입니다. 퇴원하면서 진통제를 받지 않았는데 퇴원 후 2일 지나서 갈비뼈(시술한 배관쪽)부위와 등 부분이 살살 쑤시는 느낌듭니다. 진통제를 먹어야 할까요? 약국에서 진통제를 사서 먹어도 되나요?
담도 배관 시술 후 통증이나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비교적 흔한 증상 중 하나로 보여요. 통증의 정도가 경미하고 참을 수 있는 수준이라면 진통제를 복용하지 않고 관찰해도 될 것 같아요. 하지만 통증이 지속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경우에는 진통제 복용을 고려해볼 수 있어요. 약국에서 일반적으로 구할 수 있는 비처방 진통제로는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이나 이부프로펜(애드빌, 모틴) 등이 있어요. 아세트아미노펜은 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황달로 인한 간 기능 문제가 있었다면 이부프로펜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 수 있어요. 그러나 이부프로펜은 위장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식후에 복용하는 것이 좋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술 후 통증이나 다른 증상이 발생했을 때는 자가 치료보다는 담당 의사나 의료진과 상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해요. 특히 황달이나 간 기능에 문제가 있었던 경우, 약물 복용 전에 의사의 조언을 받는 것이 중요해요. 가능하다면 의료진에게 연락하여 상황을 설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겠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저희 엄마가 탈장 수술후 진통제 복용에 대해서 힘들어하시는 것 같습니다. 21일에 수술하시고 22일에 퇴원하시고 처방받은 진통제(브렉신 정) 2알을 복용하시는데 어지럽고 울렁거리신다고 하시네요. 브렉신 정 외에도 타이레놀도 중간중간 한알씩 드셨습니다. 수술후 통증이라 진통제 복용중단은 힘들 것 같고 울렁거림을 줄일 수 있게 같이 먹을 수 있는 약이 있을까요? 울렁거리셔서 밥은 못드실 것 같고 미역국 국물이라도 드신다고 하시네요.
심근경색 후 스텐트 1개 시술한 상태입니다. 어깨통증이 심해서 진통제를 복용하고자 하는데,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는 심장질환 유병자는 조심해야 한다고 하는데, 비스테로이드 진통제가 안된다면 어떤 종류의 소염진통제 복용이 가능한지요? 감사합니다
항생제 복용후 몇시간 후에 소염진통제 복용이 가능할까요? 그리고 소염진통제 복용후 몇시간 후에 항생제 복용이 가능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