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론병으로 신장결석 또는 경화성 담관염 가능성?
크론병 환자입니다, 크론병으로인해 신장결석이나 경화성 담관염이 올수있다고 알고있는데 검사결과 ast 수치 7, 아밀라아제 수치 31 입니다. 이것은 신장결석이나 경화성담관염을 의미하나요?
크론병 환자입니다, 크론병으로인해 신장결석이나 경화성 담관염이 올수있다고 알고있는데 검사결과 ast 수치 7, 아밀라아제 수치 31 입니다. 이것은 신장결석이나 경화성담관염을 의미하나요?
크론병 환자에서 신장결석이나 경화성 담관염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론병은 염증성 장 질환으로, 영양소의 흡수 장애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신장결석이나 담도 관련 질환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AST(아스파르트산 아미노전이효소)는 간 기능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효소 중 하나이며, 아밀라아제는 췌장에서 많이 분비되는 효소입니다. AST 수치 7 U/L와 아밀라아제 수치 31 U/L는 일반적으로 정상 범위 내에 있습니다. 그러나 정확한 정상 범위는 각 실험실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수치가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는 검사를 진행한 의료 기관의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 AST와 아밀라아제 수치가 정상이라고 해서 신장결석이나 경화성 담관염이 없다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신장결석의 경우, 혈액 검사 외에도 요검사, 영상 진단(예: 초음파, CT)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경화성 담관염의 경우에는 간 기능 검사, 담도 초음파, MRCP(자기공명 담관췌장술)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수치만으로는 신장결석이나 경화성 담관염을 진단할 수 없으며, 증상과 검사를 토대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한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실 것을 권장합니다. 만약 관련 증상이 있거나 걱정되는 점이 있다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크론병환자 아밀라아제 수치 감소(31)와 AsT수치감소(7),요검사시 유로빌리노겐 2검출,요검사시 케톤 10검출은 신장결석과 경화성 담관염으로 갈수있는 위험이 있다고 말할수있나요? 아니라면 원인이나 어떤질병으로 갈수있는 위험이 있는건지 설명부탁드려요 2) 크론병환자(철결핍성빈혈도있고 혈변도봄) 요비중이 1.033인데 철결핍성 빈혈로인해 탈수가와서 이런걸수도있나요? 아니면 단순히 혈변때문에 혈류량이 감소해서 인가요?
담관염 증상과 담낭염 증상과 구별되는 특이점은 무엇일까요?
크랜베리 영양제 먹으면 신장결석생기나요? 신장결석생긴사람은 크랜베리 영양제를 앞으로 먹으면 안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