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마취 과정은 어떻게 되나요?
전신마취과정 자세히 알려주세요.
전신마취과정 자세히 알려주세요.
AD
전신마취는 수술 중 환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도록 의식을 완전히 잃게 만드는 과정입니다. 전신마취는 의식 소실을 기본으로 하여 수술 중의 모든 기억이 소실되며, 단순히 알코올 섭취로 인해 잠이 든 상태와는 비교할 수 없습니다. 전신마취의 과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사전 평가: 마취과 의사가 환자의 건강 상태, 알레르기, 과거 마취 경험 등을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마취 방법과 약물을 결정합니다.
마취 유도: 마취 유도는 정맥 주사나 흡입을 통해 마취제를 투여하여 환자가 의식을 잃도록 하는 단계입니다. 이 과정에서 환자는 빠르게 잠이 들게 됩니다.
기도 확보: 환자가 의식을 잃으면, 기도를 확보하기 위해 기관 내 삽관을 하거나 다른 기도 관리 장치를 사용합니다. 이는 수술 중에 호흡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마취 유지: 수술이 진행되는 동안 마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마취제를 투여합니다. 이 과정에서 환자의 생체 징후(심박수, 혈압, 산소 포화도 등)를 모니터링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합니다.
마취 회복: 수술이 끝나면 마취제 투여를 중단하고, 환자가 서서히 의식을 회복하도록 합니다. 이 과정에서 환자는 회복실로 옮겨져 상태를 관찰받습니다.
사후 관리: 마취에서 깨어난 후에도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필요에 따라 통증 관리나 추가적인 치료를 제공합니다.
전신마취는 안전하게 수행되지만, 환자의 상태에 따라 일시적으로 몸의 이상반응을 느낄 수 있으며, 저린감이 심해지거나 사지 위약감이 느껴진다면 즉시 해당 의료기관으로 내원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마취 후 나타나는 증상이 마취로 인한 후유증인지의 여부는 정확히 알기 어려우며, 퇴원 후 오히려 신체의 이상 반응이 지속된다면 해당 의료기관으로 재내원하셔서 진료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호흡전신마취 수술직후 의식회복까지의 과정 알려주세요
수면마취로 골수검사를 할 예정인데요. 구체적인 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혈액검사하고 수면마취해서 잠든 상태에서 골수검사를 하는건가요? 수면마취는 대체로 언제쯤 풀리는지도 궁금합니다.
아이가 중이염으로 튜브 삽입술을 시행했는데 튜브가 저절로 빠지면 앞으로 계속 튜브 삽입술을 여러 번 하면서 경과 관찰을 해야한다네요. 지금은 어려서 전신마취로 수술을 하고 있는데 초등학교 입학하면 외래에서 부분마취로 수술을 시도해보자는데 아이가 잘 협조하면 계속 부분마취로 수술하면 되고 협조가 안되면 몇번은 전신마취로 해야할 수도 있다는데 초등학교 들어가기 전까지는 전신마취로 하다가 초등학교 입학할 시기부터는 부분마취로 수술하는 경우도 있나요? 이비인후과 의사 본인 생각은 협조 잘해주면 부분마취로 계속 시행하면 될 것 같고 협조 안되면 이제 전신마취는 하지 말고 수면마취로 수술하다가 아이 잘 설득해서 부분마취로 하자던데요. 수면마취는 보통 위랑 대장내시경에 많이 사용되는 마취이긴 한데 아이한테는 전신마취보다는 수면마취가 덜 부담될거라며 전신마취 그동안 자주 했으니까 그만하고 수면마취나 부분마취로 하자시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