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mpi D Pt 가 80 이상이고 Sc가 70 이상, 약물치료 필요할까요?
Mmpi D Pt 가 80 이상이고 Sc가 70 이상입니다. 약물치료가 필수적일까요
Mmpi D Pt 가 80 이상이고 Sc가 70 이상입니다. 약물치료가 필수적일까요
AD
MMPI는 다면적 인성검사로 개인의 정서, 성격, 대인관계 특성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내담자의 상태 파악 및 진단에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MMPI만으로 진단을 하지는 않는다고 알려져 있어요. 여기서 'D'는 우울 척도를, 'Pt'는 정신병리 척도를, 'Sc'는 정신분열증 척도를 의미합니다. D 척도가 80 이상이고 Sc 척도가 70 이상이라면 상당한 수준의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나 약물치료의 필요성은 단순히 검사 점수만으로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닙니다. 환자의 전반적인 임상 상황, 증상의 심각성, 기능적 영향, 개인의 의료력, 그리고 다른 치료 방법에 대한 반응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약물치료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개인의 상황에 맞는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전문의는 환자의 증상, 검사 결과, 그리고 다른 중요한 정보들을 토대로 약물치료 또는 다른 형태의 치료(예: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 등)의 필요성을 결정할 것입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그냥 궁금해서 여쭙니다. 2년 전과 3개월전에 mmpi2 검사를 받았습니다. 그동안 진단받은 병명은 양극성 2형인데 정작 경조증 판단하는 Ma는 각각 53 51로 큰 차이도 안 나고 어마어마하게 높지도 않은거 같습니다. 반면 정신증적인 Sc는 70으로 이미 높은데 심지어 78로 더 올라갔습니다. 아무렴 의사 선생님이 더 아시는게 많고 제대로 진단하셨으리라 믿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치가 다소 아이러니한거 같아서 여쭤봅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저번주부터 처음으로 adhd 치료를 리탈린 5mg 으로 시작했는데요, 가만히 있을때도 심박수: 90, 혈압 140/80 까지 올라가 있습니다(약 없이는 70bpm, 115/80 정도). 다만 약 효과는 너무 좋아서 가능하면 약물치료를 계속하고 싶습니다. 그래서 제가 궁금한건 몸이 적을할때까지 지켜볼만한 수치인지 아니면 많이 위험한 수치인지 알고 싶습니다. 심장병은 따로 없고요 약간의 폐동맥 협착증이 있는데 어릴때 병원에서 더이상 지켜보지 않아도 된다고 한 정도입니다. 제가 호주에 사는데 제 담당 선생님과 자주 볼수도 없고 연락도 어려운 상태라서 여기 올려봅니다.
약물 치료를 받으면 약물이 신체 전신에 영향을 주어서 다른 기관에 이상이 생기기도 하는건가요? 아니면 특정 기관에만 영향을 주어서 다른 기관에 이상이 없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