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학 후에도 남은 아이의 전환장애 증상, 학교에서 어떻게 도와줄 수 있나요?

김OO • 2025.10.26

아이가 입학후에 우울증과 전환장애가 생겼습니다 심하게 왔고 기절 실신 기억소실 발작 청력 시력 과호흡 등등입니다 대학병원진료와 센터심리수업 학교 wee센터를 진행주이였고 2학기때는 전학을 했습니다 전학후 증상이 진짜 많이 사라졌고 가끔 과호흡과 순간 기절 다시 긍방 정신차림 정상수업까지 하고 오려고 노력중입니다 진단서 소견서도 학교에 다 냈으며 아이들 작은 시골학교인데 아이가 순간 기절한걸 본것같고 휴지며 물이며 많이 도와쥤더라구요 그런데 걱정은 금방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다보니 아이들이 엇 이게 무슨상황이지? 이렇게 생각하고 또 이런일이 안일어나면 좋겠지만 완전히 소거가 되지 않은상황이라 이해를 바라는건 욕심이지만 조금이라도 우리아이를 편견없이 봐줬으면해서 선생님께 필요하시면 오픈하시라고 했는데 아직 안하신거 같아요 정말 마음고생 많이하고 아이를 대신해 해줄수 있는게 학교찾아가고 병원가고 심리상담가고 용기를주고 엄마아빤 니편이다 이말뿐이 없더라구요 정말 마음이 아픕니다

스트레스심리상담불안장애
error
실시간 의료상담의 모든 게시물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아요. 저작권자의 명시적 동의 없이 게시물을 복제, 배포, 전송 등 활용하는 것은 저작권 침해로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정신건강의학과 관련 1개의 답변

  • 실시간 고민 해결사
    닥터나우 AI
    2025.10.26
    error

    닥터나우 AI가 100만 건의 상담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공한 답변이에요.

    안녕하세요. 실시간 고민 해결사입니다. [정신건강의학과]에 관한 고민이 있으시군요. 질문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자녀분의 상황과 부모님의 마음고생이 정말 크실 것 같습니다. 전환장애와 우울증으로 인한 증상들이 전학 후 많이 호전되었다고 하니 다행이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증상들로 인해 걱정이 크신 것 같습니다.

    학교에서 자녀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담임교사와의 추가 상담: 이미 진단서와 소견서를 제출하셨지만, 담임교사와 직접 면담을 통해 자녀의 상태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고, 학급 내에서 어떻게 대응해주면 좋을지 구체적으로 논의해보세요.

    2. 학생들에 대한 이해교육: 담임교사가 다른 학생들에게 자녀의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때 자녀의 동의를 얻고, 너무 자세한 의료정보보다는 "때때로 건강상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니 이해해주길 바란다"는 정도의 간단한 설명이 적절할 수 있습니다.

    3. 학교 상담교사 활용: 학교 Wee센터를 이미 활용하고 계시지만, 상담교사와 정기적인 면담을 통해 학교 적응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좋습니다.

    4. 개별화된 지원 계획: 자녀의 상태에 따라 필요시 시험 시간 연장, 별도 휴식 공간 제공 등의 지원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5. 응급 상황 대처 계획: 학교에서 증상이 나타날 경우의 대처 방법을 교사와 함께 마련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6. 정기적인 소통: 학교와 가정 간의 정기적인 소통을 통해 자녀의 상태 변화를 공유하고 필요한 지원을 조정해 나가세요.

    자녀분이 자신의 상태에 대해 편안하게 느끼는 선에서, 친한 친구들에게는 자신의 상황을 간단히 설명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자녀의 의사를 존중하며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질문자님께서 자녀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계신 점이 정말 대단합니다. 이런 부모님의 지지와 이해가 자녀의 회복에 가장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위 내용은 닥터나우가 의료진과 함께 개발한, 건강 정보에 최적화된 AI 답변입니다.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info
    꼭 확인해주세요.

    • 본 답변은 AI를 활용한 참고용 답변으로, 사실과 다른 정보가 포함될 수 있어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 행위로 간주될 수 없으며, 닥터나우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 모든 답변은 AI가 생성합니다. 닥터나우 의료진이 답변 내용을 검토하였더라도 정확성은 보증되지 않으며, 진단이나 처방 등 의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 정확한 증상 확인과 진단을 위해서는 닥터나우 앱에서 비대면 진료를 신청하시거나, 가까운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1,839명이 답변을 보고, 진료 받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