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다닐정 복용이 보험 가입에 영향이 있나요?
보험 신규 가입 시 모다닐정 이용이 심각한 고려 사유가 되나요? 처방전을 보니 질병코드는 따로 없는데 걱정되네요. 일주일 정도 복용했는데 문제가 있을까 걱정입니다.
보험 신규 가입 시 모다닐정 이용이 심각한 고려 사유가 되나요? 처방전을 보니 질병코드는 따로 없는데 걱정되네요. 일주일 정도 복용했는데 문제가 있을까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모다닐정은 보통 우울증이나 불안 같은 정신적인 문제에 사용되는 약물인데요. 보험 가입할 때 약물 복용 내역은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는데, 모다닐정이 문제가 될지 아닐지는 보험사마다 다를 수 있어요. 처방전에 질병 코드가 따로 없다면 걱정될 수 있는데, 그 약이 어떤 치료를 위해 처방됐는지가 중요해요. 예를 들어, 정신 건강과 관련된 약물이라면 보험사에서 그 부분을 고려할 수 있죠. 하지만 일주일 정도만 복용했으면 큰 문제가 될 가능성은 적어요. 그래도 보험 가입 시 걱정이 된다면, 가입하고자하는 보험사에 직접 문의하거나, 약을 처방해 준 의사한테 상담을 받아보는 게 좋을 거예요. 보험사마다 기준이 다르니까 정확히 어떤 기준으로 보는지 확인하는 게 확실할 거예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비대면진료 이용방법? 어렵지 않아요. 비대면진료 어플 닥터나우로 비대면진료 받는 방법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질문입니다 흔히들 정신과 진단 기록이 있으면 취업이나 이런거에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만약에 hiv감염예방을 위해 pep계열의 젠보야같은 치료제를 처방받았을시, 회사나 가족, 향후 보험가입등에 문제가 되거나 하지는 않나요?(hiv감염만 안되었으면 문제없겠죠?)
정신과 진료를 급여진료로 보면 추후에 실비 보험 가입에 어려움이 있나요?
사보험은 잘 찾아보면 가입을 해 주는 곳도 있다곤 하는데, 혹시나 제가 정신건강의학과에 가서 비 보험으로 ADHD와 우울증약을 처방해서 먹는다면 그것 또한 보험 가입시 제가 고지를 해 줘야 한다거나, 약을 탔다는 것을 말씀을 드려야 할까요. 보험도 가입하고 3개월 후 부터 진료가 가능한 것으로 알고있어요. 실비 보험은 있긴 한데, 그 외의 다른 사보험이 없어서 질문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