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 조직검사 후 혈종이 오래가면 암이나 새로운 섬유선종 가능성은?
유방 조직검사를 11월7일에하고 결과가 14일에 나왔습니다. 근데 2주뒤부터 검사부위의 바로위쪽에 크게 뭐가만져졌습니다. 전 그게 혈종이라 생각했는고 일주일전 맘모툼 시술을 했는데 아직도있습니닼 설마 암이나 새로운 섬유선종은 아니겠죠 혈종이 이렇게 오래가기도하나요?
유방 조직검사를 11월7일에하고 결과가 14일에 나왔습니다. 근데 2주뒤부터 검사부위의 바로위쪽에 크게 뭐가만져졌습니다. 전 그게 혈종이라 생각했는고 일주일전 맘모툼 시술을 했는데 아직도있습니닼 설마 암이나 새로운 섬유선종은 아니겠죠 혈종이 이렇게 오래가기도하나요?
유방 조직검사 후 혈종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1~2개월 이내에 없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혈종이 오래 지속되거나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병원 진료를 다시 보실 것을 권해드립니다. 만약 멍울이 없어지지 않는다면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할 수 있어요. 검사 부위의 바로 위쪽에 크게 만져지는 덩어리가 혈종인지, 암이나 새로운 섬유선종인지, 혹은 다른 원인에 의한 것인지를 정확히 판단하기 위해서는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추가적인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새로운 덩어리가 만져지거나 통증이 지속된다면, 이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나 추가적인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암이나 새로운 섬유선종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혈종이 매우 크거나 출혈이 지속되는 경우라면 침습적인 처치가 필요할 수 있으며, 염증으로 인한 증상인지 감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개인의 건강 상태, 수술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최선의 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치료 방향에 대해 수술을 집도한 주치의와 충분히 상담 받아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유방 조직검사 중 섬유선종성 변화 인데 그 안에 미세석회화를 동반한 경화성선종이 유방암으로 발전하는건가요?
초음파상이나 유방촬영에는 미세석회가 없었는데 조직검사하니까 기본적인 툴은 섬유선종성 변화 with 미세석회를 동반한 경화성선증이 나왔아요 선생님께서는 미세석회 양성으로 나와 암으로 절대 안간다고 하는데 이런경우는 복합섬유선종으로 나중에 수술할 때 암일 확률이 많이 높나요?
7월 유방 초음파에서 총 3개의 혹이 있었고 그 중 2개 조직검사 했어요 결과는 섬유낭성변화 나왔습니다 모양이 워낙 동글해 의사는 조직검사 전에 섬유선종일 가능성 99%였지만 섬유낭성변화였어요 제가 임신 준비 중이라 배란 유도제, 난포주사를 맞았는데 유방 혹에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