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레스테롤 수치 관리 방법은?
63세 여자입니다. 총콜레스테롤 246, hdl 콜레스테롤 54, ldl 콜레스테롤 158, 중성지방 172 입니다.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요? 약을 안 먹고 관리하는 방법도 알려주십시오.
63세 여자입니다. 총콜레스테롤 246, hdl 콜레스테롤 54, ldl 콜레스테롤 158, 중성지방 172 입니다.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요? 약을 안 먹고 관리하는 방법도 알려주십시오.
AD
콜레스테롤 수치가 다소 높은 편이므로 생활습관 개선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을 복용하지 않고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식단 조절: 삼겹살, 소시지, 베이컨, 돼지기름, 버터, 생크림, 치즈 등 콜레스테롤 수치를 높이는 식품은 피해주시고, 올리브유, 카놀라유, 채소, 해조류, 등푸른생선, 견과류는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식품을 드실 것을 권유드려요.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연어, 고등어 등)을 주 2회 이상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운동: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걷기, 조깅, 자전거 타기 등)을 주 5회 이상, 매회 30분 이상 실시하세요. 운동은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됩니다.
체중 관리: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체중 감량이 필요한 경우, 서서히 감량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연 및 절주: 흡연은 H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므로 금연이 필요합니다. 또한, 알코올 섭취는 적당히 하세요.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콜레스테롤 수치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명상이나 요가 등으로 스트레스를 관리하세요.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생활습관 개선만으로 충분하지 않을 경우에는 의사와 상담하여 약물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수치를 모니터링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생활 습관 교정 후에도 수치가 정상 범위 이상이라면 적절한 약물 복용이나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헌혈을햇는데 콜레스테롤수치가245가나왓습니다 높게나오는 이유와 관리방법 또는 약복용 등 궁금해요
현재 다낭성증후군이 있어서 3년째 야즈를 복용 중이고 최근 피 검사를 했는데 중성지방 284, 콜레스테롤ldl 189로 수치가 높게 나왔습니다. 제가 다낭성 생기고 몸무게가 47에서 52까지 계속해서 찌다가 이노시톨 이란 걸 발견해서 현재 49까지 내려갔습니다. 오늘 병원에서 의사가 비만이냐 물었을때 비만 아니고 다낭성 생기고 살이 찌기 시작했다 하니까 의사가 그게 아니고 비만인 사람한테만 다낭성이 생기는 거다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그리고 계속 다이어트하란 말씀만 하시는데 저는 배달 음식, 군것질, 술 절대 안 마시고 집 밥 소량만 하루 두끼 먹습니다. 여기서 음식을 더 줄여야 하는 걸까요? 중성지방,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트리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1. 혈액검사 상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 약간 높다고 약을 복용할 수치는 아니라고 관리만 잘하라는데 그럼 이상지질혈증이나 고지혈증 진단을 받은건가요? 아니면 수치만 약간 높으니 신경을 쓰고 관리하라는 의미인가요? 2. 혈액검사 상 간수치가 약간 높다고 하는데 지방간이 있으면 간수치가 약간 높게 나오는 경우도 있나요? 3. 이상지질혈증과 고지혈증의 차이는 뭔가요? 같은 의미인가요? 4. 고혈압은 병원에서 자동혈압계로 한번 측정해서 높게 나오면 바로 약 처방하는건가요? 5. 24시간 활동 혈압 검사로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이 최대 몇까지 나와야 정상으로 판정하나요? 6. 24시간 활동 혈압 검사로 수축기 혈압,이완기 혈압이 최대 몇까지 나와야 고혈압으로 판정할까요? 7. 고혈압 정상 기준은 120/80인걸로 아는데 24시간 활동혈압 검사는 활동 혈압인데 정상 기준이 120/80은 아니지 않나요? 8. 24시간 활동 혈압 검사에서 야간혈압이 200/160이 면 높은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