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안 리도카인 주사 후 혀 마비증상, 치과 스테로이드 복용 중 호전 없어요
입안쪽 리도카인 주사를 맞고 난 이후에 혀가 마비증상이 있어요~ 음식맛이 잘안느껴지고 신경이 둔하고 자극적인 음식이나 치약이 들어가면 따가워요~ 현재 치과에서 처방해준 중추신경계 스테로이드 약을 일주일정도 먹고 있는데 큰 호전반응은 없어요~
입안쪽 리도카인 주사를 맞고 난 이후에 혀가 마비증상이 있어요~ 음식맛이 잘안느껴지고 신경이 둔하고 자극적인 음식이나 치약이 들어가면 따가워요~ 현재 치과에서 처방해준 중추신경계 스테로이드 약을 일주일정도 먹고 있는데 큰 호전반응은 없어요~
리도카인 주사 후 혀의 마비 증상은 주사 부위 근처의 신경에 일시적인 손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대부분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회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일주일 이상 지속되고 호전이 없다면, 추가적인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현재 스테로이드를 복용 중이시라면, 이는 염증을 줄이고 신경의 회복을 돕기 위한 치료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지속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1. 치과 의사와의 상담: 치료를 받으신 치과 의사와 상담하여 증상의 지속 여부와 치료 과정에 대해 논의하세요.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검사나 치료 방법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2. 신경과 전문의 상담: 신경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신경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신경 전도 검사나 MRI 등의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3. 증상 관리: 혀의 감각이 둔해지거나 자극에 민감한 경우, 자극적인 음식이나 치약 사용을 피하고, 부드럽고 온화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정기적인 검진: 증상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의료진과의 정기적인 상담을 통해 증상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세요. 만약 스테로이드 복용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의료진과 상의하여 치료 계획을 재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다른 치료 옵션을 고려해야 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치과에서 매복사랑니 발치 후 하치조신경마비를 진단받아 스테로이드를 복용 중인데 치과에서 처방해주는 용량으로 먹다가 부작용이 세게 와서 다른 병원에서 스테로이드 복용에 대해 상담을 받고 싶습니다ㅠ 종합병원으로 갈건데, 어느 과로 가야할까요??
엉치뼈부터 한쪽 다리까지 통증이 있으면서 마비가 옵니다. 저녁 시간대에 주로 심하게 통증이 오고요. 무슨 병일까요? 스테로이드 주사를 2번 맞았음에도 호전이 없습니다.
목,허리디스크에 맞은 주사인데 성분에 리도카인이랑 생리식염수만 들어가있으면 스테로이드는 없으니까 일주일 간격으로 맞아도 관계 없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