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월 아기 39도 발열, 해열제 후 대처법은?
현재 12개월 아이가 귀온도 39.2 해열제 먹인상태입니다. 증상은 16일 오전부터 38도 여서 14시쯤 해열제 한번먹였엇구요.
현재 12개월 아이가 귀온도 39.2 해열제 먹인상태입니다. 증상은 16일 오전부터 38도 여서 14시쯤 해열제 한번먹였엇구요.
AD
12개월 아기가 39.2도의 발열을 보이고 있다면, 해열제를 이미 복용한 상태에서도 추가적인 관찰과 적절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아래의 방법을 참고하세요:
체온 확인: 해열제를 복용한 후 30분에서 1시간 정도 지나면 체온이 어느 정도 내려가는지 확인하세요. 체온이 계속 39도 이상으로 유지된다면 추가적인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해열제는 동일 약은 4-6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복용이 가능하며, 다른 성분의 경우 2-3시간 간격을 두고 교차 복용이 가능합니다. 아세트아미노펜(ex. 타이레놀) 계열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인 이부프로펜(ex. 부루펜) 계열을 교차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권장 용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수분 섭취: 아기가 탈수되지 않도록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게 하세요. 모유, 분유, 물 등을 조금씩 자주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열이 나면서 잘 먹지 못하거나 축 처진 모습을 보인다면 탈수 위험을 염두에 두고 수액 처치가 가능한 소아청소년과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옷차림 조절 및 미온수 닦기: 아기가 너무 덥거나 춥지 않도록 옷을 가볍게 입히고, 실내 온도를 적절히 유지하세요. 옷을 벗기고 몸을 가볍게 하는 것만으로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지근한 물을 적신 수건으로 몸을 닦아주는 것도 열을 내리는 데 효과적입니다.
증상 관찰: 발열 외에 다른 증상(예: 기침, 설사, 구토, 발진 등)이 나타나는지 주의 깊게 관찰하세요. 특히 아기가 무기력하거나, 먹지 않거나, 울음을 멈추지 않는다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의료기관 방문: 해열제를 복용한 후에도 체온이 39도 이상으로 지속되거나, 아기가 불편해 보이는 경우에는 소아과를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3일 이상 발열이 지속되거나, 경련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각적인 진료가 필요합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해열제를 복용한 후 체온이 내려가는지 확인하고, 아기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기가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경과를 조금 더 지켜볼 수 있지만, 열이 떨어지더라도 컨디션이 저하되거나 상태가 좋지 않다면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2개월 아기 37.6도 열이나요 약국에서 해열제 사오려고 하는데 복용법과 열 대처법 알고싶어요
아기가(8키로 13개월) 자고 있는데 39.5도 정도 발열이 납니다. 현재 코로나 감염된 상태입니다. 해열제 복용 없이 계속 재워도 괜찮을까요?
이 약들 중 해열제 성분이 있나요? 20개월 아기 열이 39도 인데 해열제 따로 먹여야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