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에 만져지는 뭉툭한 원기둥 모양, 엑스레이 필요할까요?
어머니의 왼쪽팔의 위쪽 안쪽, 다시 말해서 이두 쪽을 만져 보니 뭔가가 느껴집니다. 오른쪽 팔에서는 느껴지지 않는데요. 느껴지는 것이 약간 반구 모양이며, 전체적으로 딱딱하지는 않지만 뭉툭한 원기둥 모양입니다. 만 59세 여성이며, 이것으로 당장 통증이나 열 감이 느껴지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이것이 어떤 것일 수 있으며, 혹시 정형외과에서 엑스레이를 찍어야지 될까요?
어머니의 왼쪽팔의 위쪽 안쪽, 다시 말해서 이두 쪽을 만져 보니 뭔가가 느껴집니다. 오른쪽 팔에서는 느껴지지 않는데요. 느껴지는 것이 약간 반구 모양이며, 전체적으로 딱딱하지는 않지만 뭉툭한 원기둥 모양입니다. 만 59세 여성이며, 이것으로 당장 통증이나 열 감이 느껴지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이것이 어떤 것일 수 있으며, 혹시 정형외과에서 엑스레이를 찍어야지 될까요?
AD
어머니 팔의 이두 부위에서 느껴지는 이상 증상에 대해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증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져지는 것이 반구 모양이고 딱딱하지 않으며 통증이나 열감이 없다고 하셨으니, 몇 가지 가능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종아리 앞쪽 멍울에 대한 답변에서 언급된 것처럼, 피부 아래에서 만져지는 덩어리는 피지낭종, 지방종, 결절종 등 다양한 원인일 수 있습니다. 지방종은 피부 아래에 생기는 양성 종양으로 부드럽고 움직일 수 있는 덩어리로 느껴질 수 있으며, 통증이 없고 크기가 점차 커지지 않는다면 비교적 안전한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결절성 변화나 근육 또는 힘줄의 구조적 변화로 인해 특정 부위가 두드러져 보이거나 만져질 수도 있습니다.
엑스레이는 뼈와 관절의 문제를 확인하는 데 유용하지만, 피부 아래의 연조직 문제를 확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형외과보다는 피부과나 외과를 방문하여 초음파 검사를 통해 연조직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덩어리의 성질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만약 덩어리가 점점 커지거나 통증, 열감, 피부 변화가 생긴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추가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 상태에서는 큰 긴급성을 띠지 않더라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전문의와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STD검사시 대학병원은 원기둥같은거에 두꺼운걸로 PCR 검사를 하나요?
팔꿈치를 벽에 세게 찧고 난뒤에 팔을 들거나 할때 통증이있습니다. 엑스레이 찍어봐야할까요?
손 팔목이 저려요 뼈에 문제는 아닌 거 같은데 엑스레이 엑스레이 찍는 게 맞는 걸까요? 제가 목도 아픈데 엑스레이 결과 일자목이고 별다른 증상은 없다고 하셨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