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 진단과 약 처방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건강검진하면 혈압이 150/95 이내로 측정 되는데 2차 검사를 해도 140/90 이하로 떨어지질 않습니다. 24시간 혈압검사를 받아봐야한다는데도 있고 가정 혈압으로 충분하다는데도 있는데 어떻게 햐아 할까요? 약 복용이 필요하다면 약은 대학병원 같은데서 타야 할까요?
건강검진하면 혈압이 150/95 이내로 측정 되는데 2차 검사를 해도 140/90 이하로 떨어지질 않습니다. 24시간 혈압검사를 받아봐야한다는데도 있고 가정 혈압으로 충분하다는데도 있는데 어떻게 햐아 할까요? 약 복용이 필요하다면 약은 대학병원 같은데서 타야 할까요?
AD
고혈압 진단은 일반적으로 여러 번의 혈압 측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건강검진에서 혈압이 150/95로 측정되었고, 2차 검사에서도 140/90 이하로 떨어지지 않는다면 고혈압으로 진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고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40 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 mmHg 이상일 때 진단되며, 정상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120 mmHg과 80 mmHg 미만일 때로 정의됩니다.
24시간 혈압검사는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유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병원에서 측정한 혈압이 높게 나오는 "백의 고혈압"인지, 아니면 실제로 고혈압인지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가정 혈압 측정도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가정에서 아침과 저녁에 일정한 시간에 혈압을 측정하고 기록하면, 의사가 진단에 참고할 수 있습니다. 가정 혈압 측정 시 평균 혈압이 135/85 mmHg를 넘는다면 고혈압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약물 치료가 필요한지 여부는 혈압 수치뿐만 아니라 환자의 나이, 가족력, 동반 질환(예: 당뇨, 고지혈증, 심혈관 질환 등)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현재 혈압 수치가 지속적으로 140/90 이상이라면 약물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고혈압은 뇌졸중, 심근경색 등 심혈관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약물 치료를 통해 혈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 처방은 꼭 대학병원에서 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가까운 내과나 가정의학과에서도 충분히 고혈압 약을 처방받을 수 있습니다. 대학병원은 복잡한 동반 질환이 있거나 고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을 때 방문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따라서, 우선 가까운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필요하다면 24시간 혈압검사나 추가 검사를 진행한 후 약물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약물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면, 정기적으로 혈압을 모니터링하고 의사와 상담하며 약을 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체중 조절, 저염식, 규칙적인 운동, 금연 등 생활습관 개선도 병행하여 혈압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혈압 상승에 따른 두통, 어지러움, 가슴 답답함 등의 증상이 있다면 즉시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고혈압 약을 처방 받던 병원과 약국이 같이 휴무라 약이 떨어졌는데 처방을 어찌 받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처방 받던 약이 뭔지 알 수 없는 상황인데 방법이 없을지요..
오늘 고혈압약을 처방받고 싶은데요.. 어떻게 해야 합니까?
고혈압 있다고 병원에서 진단을 받았어요.혈압약 1주일 처방해주셧어요. 혈압약을 계속 먹어야되는지 얄려주세요? 고혈압 치료 방법과 좋은 음식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