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한 양의 체액도 면역세포가 처리할 수 있나요?
제가 돼지 방광으로 실험을 했습니다 호 침으로 찌르다보니까 아주 미세한 물이 흐르더군요 이런 흐르는 물은 면역세포나 대식세포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습니까 아주 소량이고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정도입니다.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지속적으로 침을 맞는 것은 아니고 딱 한 번 정도 맞았습니다 이 정도의 양이면 대식세포나 면역세포에서 충분히 처리할 수 있습니까
제가 돼지 방광으로 실험을 했습니다 호 침으로 찌르다보니까 아주 미세한 물이 흐르더군요 이런 흐르는 물은 면역세포나 대식세포에 의해서 처리될 수 있습니까 아주 소량이고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정도입니다.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지속적으로 침을 맞는 것은 아니고 딱 한 번 정도 맞았습니다 이 정도의 양이면 대식세포나 면역세포에서 충분히 처리할 수 있습니까
AD
소량의 체액에 대한 걱정이 있으신 것 같습니다. 인체의 면역 시스템은 매우 효율적으로 작동하며, 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정도의 아주 미세한 양의 체액은 일반적으로 면역세포와 대식세포에 의해 충분히 처리될 수 있습니다. 대식세포는 이물질을 탐식하고 처리하는 역할을 하는데, 특히 소량의 체액이라면 더욱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회성으로 노출된 경우라면 지속적인 노출보다 면역 시스템이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육안으로 보이지 않을 정도의 미량이라면 걱정하실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다만, 실험 과정에서 사용된 도구가 멸균되지 않았거나 오염된 경우에는 감염의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실험 시 위생 관리에 주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미세한모래가루같은것들이 1개정도인데 베인상처에 들어가면 면역세포들이 처리할수있나요 신문에 횡사나. 흙먼지같은것은 면역세포가 잡아 먹는다하던데요. 처리 되나요
미세한돌가루나모래가루같은것들이 베인상처에 들어가면 면역세포들이 처리할수있나요 신문에 횡사나. 흙먼지같은것은 면역세포가 잡아 먹는다하던데요. 처리 되나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흙먼지 같은 경우 면역세포나 대식세포가 처리할 수가 있는지요 대식세포가 면역세포가 흙먼지가 크게 되면은 다수에 면역세포 공격해서 제거한다고 합니다 미세한 극소량의 흙먼지는 충분히 대식세포에서 처리될수있는지 궁금합니다 한두 달이 지나 충분히 제거되어 사라지겠죠 알루미늄 마그네슘 칼슘 칼륨 등 있는데 이것들은 다 녹일 수 있는 성분이 아닙니까? 나머지 아부 중금속 들인데 이거는 너무 미세해서 제거할 수 없겠지요. 아무튼 미세한 극소수량의 흙먼지는 면역세포나 대식세포 이에서 충분히 제거가 되는지 알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