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 1형이 생식기에 생길 수 있나요?
헤르페스 1형인데 생식기에 포진이 날 수도 있나요? 소변볼 때 매우 따끔거리고 양쪽에 수포가 크게 났습니다 그리고 현재 남자친구는 헤르페스 1형으로 진단 받았고 저는 생리중이라 약만 처방받은 상태입니다 생리끝나고 바로 헤르페스 검사를 받을 수 있을까요?
헤르페스 1형인데 생식기에 포진이 날 수도 있나요? 소변볼 때 매우 따끔거리고 양쪽에 수포가 크게 났습니다 그리고 현재 남자친구는 헤르페스 1형으로 진단 받았고 저는 생리중이라 약만 처방받은 상태입니다 생리끝나고 바로 헤르페스 검사를 받을 수 있을까요?
AD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네, 헤르페스 1형도 생식기에 포진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요.
자세히 설명 드릴게요.
먼저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은 헤르페스 바이러스 과에 속하는 바이러스가 일으키는 감염증으로, 원인 바이러스는 매우 다양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단순포진 바이러스 제 1형(HSV-1)과 제 2형(HSV-2)인 것이고요.
단순포진 1형은 주로 입이나 입술 주변, 코, 뺨, 턱, 구강 내 점막 등에 단순 포진으로 발생하며, 단순포진 2형은 주로 허리 아래의 감염을 일으켜 생식기 주위의 물집, 피로감, 무력감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보통은 그렇긴 하지만, 단순포진 1형이 생식기 주위에서 발견되기도 하는 등 그 경계가 모호하여 정확한 유형 확인을 위해서는 검사를 해보셔야 한다는 점이에요.
소변볼 때 매우 따끔거리고 양쪽에 수포가 크게 났다는 점을 미루어 보면, 단순포진 2형에 의한 전형적인 증상일 가능성이 높긴 합니다만 1형이 있는 남자친구 분과 입맞춤이나 구강성교 등을 했다면 질문자님께 생식기 수포로 발현되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하지만 애초에 남자친구 분께 2형도 같이 있었으나 여태 증상 발현이 없어 알지 못했던 경우일 수도 있기 때문에, 혈액검사를 진행해 보시는 게 가장 좋겠어요.
헤르페스로 의심되는 특징적인 병변이 없을 때는 혈액검사를 통해 IgG, IgM 항체를 확인하게 돼요.
IgM은 바이러스에 대한 첫 번째 반응을 나타내며, 감염 초기에 발견되는 지속기간이 짧은 항체이기 때문에 검사일을 기준으로 최근 4주 이내 감염 이력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반면에, IgG는 더 오래 지속되는 면역 반응을 나타내며, 지속 기간이 긴 항체이기 때문에 오래 전에 감염된 적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생리가 끝날 때까지 수포가 남아 있다면, Swab Test(스왑 테스트)라고 하여 병변에서 직접 검체를 채취하는 방식으로 검사를 진행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보통 6~7일 정도 생리를 하는 사이에 이런 수포가 다 사라지고 궤양만 남을 수 있기 때문에, 혈액검사를 진행하시는 편을 추천 드립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닥터나우에서 발행하고 있는 콘텐츠 중 하나를 하단에 추천해 드릴게요.
'건강매거진' 속 다양한 콘텐츠도 읽어보시면 좋겠어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ᵕ′*)
헤르페스, 이름은 들어봤지만 1형과 2형의 정확한 차이를 잘 모른다면 클릭해 보세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헤르페스 1형이 생식기에 생겼는데 증상이 없으면 검사해도 안나올수도있나요? 그리고 헤르페스1형이 생식기에 생기려면 입에 헤르페스가 걸린사람이 구강과 생식기가 닿아야 생식기에 발현되는건가요?
입술 포진에 사용한 아시클로바 연고를 생식기에 사용한 경우 헤르페스가 생식기로 옮을 수도 있다고 했는데 이 경우 1형 헤르페스인 건 가요? 1형 헤르페스가 생식기에 생기면 위험한가요?(2형과 같이 합병증 위험도가 높은가요?) 그리고 이미 포진이 입술에 나있는데 생식기에도 날 수 있는건가요?
생식기에 헤르페스 추정된게 생겼는데 1형인지 2형인지 확인은 못했습니다 제가 헤르페스가 생식기에 궤양이 생긴상태에서 상대방에게 구강성교를 해주면 상대방도 감염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