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모판 역류 진단 후 1년 이상 정기검진 안받았는데 심장병 가능성 있나요?
제가 2020년에 기립성 승모판 역류 진단을 받았어요. 승모판 역류가 완전 미미하게 있는데 1년마다 정기검진 받으라고 해서 잘 받다가 작년부터 받지 않았어요. 마지막으로 승모판 역류 검진할때 원장님께서 1년후에 오라고 이야기 안하셨어요. 그럼 검진 안받고 있는데 이거 심장병 있는거에요? 이 상태에서 헬스나 기구 필라테스 운동 해도 될까요?
제가 2020년에 기립성 승모판 역류 진단을 받았어요. 승모판 역류가 완전 미미하게 있는데 1년마다 정기검진 받으라고 해서 잘 받다가 작년부터 받지 않았어요. 마지막으로 승모판 역류 검진할때 원장님께서 1년후에 오라고 이야기 안하셨어요. 그럼 검진 안받고 있는데 이거 심장병 있는거에요? 이 상태에서 헬스나 기구 필라테스 운동 해도 될까요?
승모판 역류 진단을 받으셨다면,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승모판 역류가 미미하다고 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상태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주기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원장님이 1년 후에 오라고 말씀하지 않으셨다면, 그것이 검진이 필요 없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검진 주기는 개인의 상태와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상황을 알기 위해서는 의료진과 상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심장병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승모판 역류 자체가 심장 질환의 일종이지만, 미미한 경우에는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1년 이상 정기검진을 받지 않았다면, 현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검진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순환기내과나 심장내과 등의 진료를 통해 상담하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여요. 운동에 대해서는, 기립성 승모판 역류가 있는 경우에도 많은 사람들이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는 의사와 상의하여 개인의 상태에 맞는 운동 강도와 종류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헬스나 기구 필라테스 운동을 하기 전에, 심장 전문의나 담당 의사와 상의하여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조언을 받으시길 권장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제가 2020년에 승모판 역류 진단을 받았어요. 승모판 역류가 완전 미미하게 있는데도 불구하고 심장 괜찮다고 볼 수 있을까요? 또 심장병 있다고 봐야되나요?
제가 2020년에 기립성 어지러움과 승모판 역류 진단을 받았어요. 승모판 역류가 완전 미미하게 있는데 1년마다 정기검진 받으라고 해서 잘 받다가 작년부터 받지 않았어요. 마지막으로 승모판 역류 검진할때 원장님께서 1년후에 오라고 이야기 안하셨어요. 그래도 승모판 역류가 완전 미미해서 증상이 없는데 1년마다 검진 받아야 하나요?
지금 키가 161cm 체중이 74kg에요. 자기 전에 간식 먹고 새벽에 자다가 깨나서 간식 먹고 아침에 일어나서 아침 점심 저녁 먹고나서 배고플 때 간식 먹어요. 운동은 하루에 걷기 40분해요. 제가 2020년에 승모판 역류 진단을 받았어요. 승모판 역류가 완전 미미하게 있는데 고혈압까지 있는상태에요. 지금 고혈압약 임의로 중단했어요. 고혈압이 승모판 역류를 악화되게 하나요? 지금 고혈압 있으면서 승모판 역류가 완전 미미한 상태에서 헬스 같은 운동하면 심장이 서서히 나빠지나요? 아님 갑자기 나빠지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