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나 매독,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걸린 상태에서 피검사에 검출될까요?
제가 만약 에이즈나 매독,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걸렸는데 잠복기인 상태라면 피검사에 검출되지 않을 수 있나요? 아니면 잠복기라 하더라도 걸린 상태라면 피검사에 검출이 되나요?
제가 만약 에이즈나 매독, 인유두종 바이러스에 걸렸는데 잠복기인 상태라면 피검사에 검출되지 않을 수 있나요? 아니면 잠복기라 하더라도 걸린 상태라면 피검사에 검출이 되나요?
에이즈(HIV), 매독,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피검사는 각각의 질병에 따라 다른 방식으로 진단됩니다. 1. 에이즈(HIV)의 경우, 감염 후 일정 기간이 지나야 항체가 형성되어 피검사에서 검출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감염 후 2주에서 12주 사이에 항체가 형성되며, 이 시기를 '윈도우 피리어드'라고 합니다. 이 기간 동안에는 검출되지 않을 수 있어요. 2. 매독은 감염 후 1~3주 후에 1차 증상이 나타나며, 혈액 검사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 잠복기에는 검출되지 않을 수 있어요. 매독치료를 시작하기 전에는 검사전 항체역가를 미리 확인해야 페니실린 주사 치료 후 효과나 완치판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혈액 항체검사를 시행해야 한다고 해요. 3. 인유두종 바이러스(HPV)는 일반적인 혈액 검사로는 검출되지 않으며, 주로 자궁경부 세포 검사(Pap smear)나 HPV DNA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HPV는 잠복기가 길 수 있으며, 증상이 없을 때는 검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미 감염된 경우에는 백신 접종으로 감염된 바이러스가 치유되지는 않지만 치료 후 재발하는 횟수를 줄여줄 수 있으므로, 현재 잠복기라고 하시더라도 접종은 시행해 주실 것을 권유드려요. 따라서, 각 질병의 특성과 검사 방법에 따라 잠복기 동안 검출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증상이 있거나 감염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적절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인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 또한 도움이 될 수 있어요.
꼭 확인해주세요.
질전정유두종은 인유두종바이러스 hpv와연관이있나요? 그리고 hpv바이러스 검사하고 바이러스가 검출되면 남자가 옮았을 확률이 높나요?
자궁암검진에서 비정형 선상피세포로나와서 자궁확대경과 인유두종바이러스검사했는데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음성나왔구요 자궁경부조직검사에서 16번인가 약하게검출된듯한데 근데선생님이 괜찮다고 3개월후에검사하자고하시는데 선상피세포는 위험한걸로아는데 그리고16번바이러스도 위험한걸로아는데 약하게반응나왔는데 인유두종바이러스에서 음성으로 나올수있나요?
인유두종 바이러스때문에 생긴 사마귀를 제거한 이후에 성병검사를 하면 인유두종 바이러스가 검사결과에 나오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