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을때 비툴거림, 어지럼증으로 소뇌위축증 진단 가능할까요?
1년 전부터 걸을때 비툴거림,어지럼증이 생겨 뇌mri를 찍었는데 위축은 없었지만 유전자 검사를 통해 소뇌위축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뇌mri 이상이 없는데도 유전자가 발견되면 소뇌위축증이 맞는 걸까요?
1년 전부터 걸을때 비툴거림,어지럼증이 생겨 뇌mri를 찍었는데 위축은 없었지만 유전자 검사를 통해 소뇌위축증 진단을 받았습니다. 뇌mri 이상이 없는데도 유전자가 발견되면 소뇌위축증이 맞는 걸까요?
진료가 필요한 상황인가요?
소뇌위축증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질환으로, 초기에는 뇌 MRI에서 명확한 이상이 보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유전자 검사를 통해 소뇌위축증과 관련된 변이가 발견되었다면, 이는 소뇌위축증 진단에 중요한 근거가 될 수 있어요. 뇌 MRI에서 이상이 없더라도 유전자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소뇌위축증으로 진단받는 것이 가능합니다.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경우, 신경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지속적인 관리와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뇌위축증은 광범위한 개념이며, 일종의 질환군으로 볼 수 있으며, 이른 연령에 발병하는 질환들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이 많고, 늦은 나이에 발병하는 질환들은 상염색체 우성 유전이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유전자 검사 결과와 증상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며,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신경과 전문의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오늘 손목 수술후 재활 4주차라 병원 방문하여 손목 재활 각도 확인을 위해 의사선생님이 손목을 꺾으셨는데 너무 아프더라구요 근데 갑자기 식은땀 나고 창백해지면서 속 매스꺼워서 안절 부절 못하다가 원장님이 알아보시곤 잠깐 누워있으라고 쇼크올뻔 한거라고 하셨는데 제가 컴퓨터 게임 3D게임 배틀그라운드 같은 게임을 하면 똑같이 식은땀 나고 속 매쓰꺼워지는데 찬바람을 쐬거나 누워있으면 괜찮아 지더라구요 아니면 가끔 버스에서 더워지면서 답답할때가 있는데 외투를 벗거나 참고 창밖을 바라보면 괜찮아져요 이 중상이 미주신경성 실신 맞나요?
공부중에 갑자기 몸에 힘이 빠지고 속이 매스꺼워 지는 듯힌 느낌이 있었습니다 갑자기 공간이 답답해서 나가려 하는데 일어나면 쓰러질것 같고 심장도 삐르게 뛰어서 멍하게 한참 앉아 있다가 일어났습니다 이런 경우는 왜 그러는 건지 병원에 가려면 어디로 가야할까요?
정신과에 가야 하는데 청소년이라서 부모 허락이 필요해요. 그치만 도와달라고 말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어요. 자해가 심해지고 침대에 눕는 것도 어려워해요. 토를 하고 폭식이 심해요. 근 1년 이상 매일 우울했어요. 길을 걷다가 갑자기 불안해져서 견딜 수 없어요. 불안의 이유와 대상은 모르겠어요. 지금 그냥 편안하게 침대에 누워서 제 머릿속의 소리를 꺼버리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