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기 혈압이 30대까지 떨어지면 진료가 필요한가요?
내분비내과갔다가 우연히 저혈압인걸 알았는데 .. 이완기 혈압이 37까지 떨어지더라구요.. 담당과장님이 조금 지켜보다 계속 그럼 순환기내과나 심장내과 진료 권하시던대 .. 2개월째 활동을 하고 휴식을 취하고 측정하고 아침, 저녁으로 혈압 확인하는데 수축은 보통 88-72정도 , 이완기는 55-39 맥박은 정상이구요 .. 진료를 봐야할까요? ㅠㅠ
내분비내과갔다가 우연히 저혈압인걸 알았는데 .. 이완기 혈압이 37까지 떨어지더라구요.. 담당과장님이 조금 지켜보다 계속 그럼 순환기내과나 심장내과 진료 권하시던대 .. 2개월째 활동을 하고 휴식을 취하고 측정하고 아침, 저녁으로 혈압 확인하는데 수축은 보통 88-72정도 , 이완기는 55-39 맥박은 정상이구요 .. 진료를 봐야할까요? ㅠㅠ
AD
이완기 혈압이 30대까지 떨어지는 상황은 확실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저혈압의 경우 특별한 증상(어지러움, 식은땀, 기력 저하 등)이 없다면 경과를 지켜볼 수도 있지만, 이미 내분비내과 의사가 순환기내과나 심장내과 진료를 권했다는 점은 중요합니다.
특히 이완기 혈압이 39-55 정도로 지속적으로 낮게 유지되고 있다면, 전문의의 정확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저혈압의 원인은 다양할 수 있으며, 특별한 치료제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원인에 따른 적절한 관리 방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의사의 권고대로 순환기내과나 심장내과를 방문하여 저혈압의 원인을 찾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겠습니다. 특히 2개월 동안 지속되는 상황이라면 더 이상 미루지 말고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장합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보통 혈압을 처음 재면 130초반의 수축기와 70대의 이완기가 나오고 바로 다시 측정하여 2회차부터는 120대의 수축기와 60초중반의 이완기가 나오는데 오늘 찜질방을 가는데 이완기가 60에 가까워 걱정인데 저혈압의 가능성이 높을까요? 반대로 간혹 머리가 아프거나 지끈거려 긴장상태가 되어 혈압을 측정하면 첫혈압은 140대에 이완기 80이고 2회차부터는 130대 중반의 혈압이 나오는데 고혈압도 주의해야할까요?
병원에서 집에서 혈압 재보라고 해가지고 아침저녁으로 2회씩 재고 있는데 수축기 혈압은 110대-120대 인데 이완기 혈압 80대-90대 왔다갔다해요 이완기 혈압 90 넘으면 고혈압으로 진단하던데 약 복용해야하나요?
맥박이 30대로 떨어져도 혈압이 안떨어지면 괜찮다는게 사실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