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황장애 치료 중인데 무기력, 우울, 불면증 등 다른 질병이 발생한 건가요?
공황장애 8개월째 약물 등등 치료중 공황이후 퇴사후 현재 무직상황 대학생둘.중딩하나 가장임 와이프 소소한 알바하고는 있으나 턱없이 부족 나이 50에 구직이 쉽지가 않아 장기전 예상 호흡및 불안등등의 공황은 많이좋아짐 구직 스트레으로 불면증 진단 그로인한 무기력.우울,자존감,삶의의욕 바닥임 밥 먹는것, 양치 조차하기 싫음 다른 질병이 발생한건가요. 아님 면장선상인가요?
공황장애 8개월째 약물 등등 치료중 공황이후 퇴사후 현재 무직상황 대학생둘.중딩하나 가장임 와이프 소소한 알바하고는 있으나 턱없이 부족 나이 50에 구직이 쉽지가 않아 장기전 예상 호흡및 불안등등의 공황은 많이좋아짐 구직 스트레으로 불면증 진단 그로인한 무기력.우울,자존감,삶의의욕 바닥임 밥 먹는것, 양치 조차하기 싫음 다른 질병이 발생한건가요. 아님 면장선상인가요?
현재 겪고 계신 증상들은 공황장애와 관련된 불안 및 스트레스가 지속되면서 나타날 수 있는 우울증의 증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불면증, 무기력, 우울감, 자존감 저하, 삶의 의욕 상실 등은 우울증의 전형적인 증상으로,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공황장애의 주된 치료방법으로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가 있으며, 약물치료의 경우 공황 증상이 호전되면 재발 방지를 위하여 8~12개월가량 약물 치료를 유지해야 재발률이 상대적으로 낮아집니다. 다른 질병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진단이 필요합니다. 현재 치료를 받고 계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증상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고, 필요하다면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다른 질병의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진단을 받고 적절히 치료를 받으면 증상이 상당히 호전되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생활습관 개선과 심리치료, 약물치료 등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좋습니다. 현재의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며, 필요한 경우, 가족의 지원을 받거나 심리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보시기 바랍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1. 우울장애 인지기능 저하, 우울, 무기력, 불면증, 몸의 중심 잡기 어려운 느낌, 자살 생각 +아침에 더 심해짐 (식욕 감소) 2. 공황장애 훈련 도중 공황 발작 2회, 발작에 대한 걱정, 심장이 빨리 뛰는 느낌 삼촌이 공황장애를 앓았다고 함 3. 불안장애 집중력 저하, 불면증, 목에 이물감, 소변을 자주 봄, 멍한 느낌, 쉽게 피로해짐, 숨이 가쁜 느낌 정신과에서 두서없이 얘기했더니 우울증 경증으로만 판단하더라구요 그래서 제 증상을 조금 정리해봤는데 다음에 병원가서 이렇게 얘기하면 제가 말한 질병이 진단되는지 궁금합니다
임신중 우울증.공황장애.분노조절.불면증.등 너무심해서 대학병원에서 약처방 받앗어요,,,혹시여기서도 증상상담후 처방이가능할까요??
지금 공황장애랑 우울증 불면증있어서 정신과 약먹고 있는데 다이어트 약 먹을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