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T로 호지킨 림프종과 육아종 구별 가능성은?
Ct를 통해 호지킨 림프종, 육아종을 어느정도나마 구별할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귀 앞쪽에 생긴 멍울을 ct로 관찰할려면 조영제가 필요하나요? 또 어떤 ct로 찍어봐야 하나요?
Ct를 통해 호지킨 림프종, 육아종을 어느정도나마 구별할 수 있을까요? 그렇다면 귀 앞쪽에 생긴 멍울을 ct로 관찰할려면 조영제가 필요하나요? 또 어떤 ct로 찍어봐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CT로 호지킨 림프종과 육아종을 어느 정도 구별할 수는 있지만, 확실하게 진단하려면 조직검사가 꼭 필요합니다. CT에서는 림프절의 크기나 모양, 조영제 반응 등을 보고 두 질환을 감별할 수 있지만, 둘이 비슷하게 보이는 경우도 있어서 CT만으로 확진하기는 어려운 부분이 있어요. 귀 앞쪽에 생긴 멍울을 CT로 확인하려면 조영제를 사용하는 게 더 정확해요. 조영제를 쓰면 림프절과 주변 조직의 차이가 더 뚜렷하게 보이기 때문에 감별이 쉬워질 수 있거든요. 다만, 신장 기능이 안 좋거나 조영제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에는 비조영 CT를 찍기도 해요. 촬영해야 하는 부위는 경부 CT(목 CT)가 적절하겠어요. 귀 앞쪽 멍울이 림프절 비대라면 경부 CT로 림프절 크기나 구조를 확인할 수 있을 거에요. 조영제를 사용하면 림프절 내부의 변화를 더 정밀하게 볼 수 있어서 불가능한 상황이 아니라면 조영 증강 CT로 찍는 게 더 확실하게 볼수 있을 거에요. 정리해보자면, CT로 어느 정도 구별은 가능하지만 확실한 진단을 위해서는 조직검사가 필요하고, 귀 앞쪽 멍울을 확인하려면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부 CT를 찍는 게 가장 정확한 방법이에요. 도움이 필요하실 때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비대면진료 이용방법 궁금했다면? 비대면진료 어플 1위 닥터나우에서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려요.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흉살하고 육아종. 다르나요
안녕하세요 애기가 80정도됐구 50일정도쯤부터 배꼽에서 진물이나고 냄새가 심하고해서 소아과갔더니 육아종이라면서 세균연고? 같은걸 주시면서 하루한두번 꾸준히 바르라고 하셔서 그렇게했더니 지금은 진물도 냄새도 안나구요 배꼽을 벌리지않으면 육안으로 봤을때 육아종이 튀어나오거나 그런건 없는데 잘 아문걸까요 약은 계속 발라야할까요
육아종 연고 치료 언제까지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