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 진단 시 채혈과 항생제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26갤 아기 충농증과 초기폐렴 진단을 받았는데요. 염증수치가 1.8로 높다고 입원치료를 권하셨지만 통원치료하기로하고 이틀뒤 다시 내원했는데 엑스레이상 콧물도 더 차있고, 폐사진도 비슷하다며 또 채혈을 했습니다. 폐렴인경우 흉부엑스레이상 변화가 없을경우 채혈을 매번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폐렴의 경우는 호흡기치료를 하지 않고 항생제 치료만 가능한건지도 궁금합니다.
26갤 아기 충농증과 초기폐렴 진단을 받았는데요. 염증수치가 1.8로 높다고 입원치료를 권하셨지만 통원치료하기로하고 이틀뒤 다시 내원했는데 엑스레이상 콧물도 더 차있고, 폐사진도 비슷하다며 또 채혈을 했습니다. 폐렴인경우 흉부엑스레이상 변화가 없을경우 채혈을 매번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폐렴의 경우는 호흡기치료를 하지 않고 항생제 치료만 가능한건지도 궁금합니다.
AD
26개월 된 아이의 상태에 대해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질문에 대해 차근차근 답변드리겠습니다.
폐렴에서 엑스레이와 채혈의 필요성
폐렴의 경우 흉부 엑스레이는 병의 진행 상황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엑스레이만으로는 염증의 정도나 원인을 정확히 알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증 수치(CRP, 백혈구 수치 등)를 확인하기 위해 채혈 검사를 반복적으로 시행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염증 수치가 높거나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병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추가적인 채혈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아이의 상태를 더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기 위함입니다.
폐렴 치료: 항생제와 호흡기 치료
폐렴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릅니다. 세균성 폐렴의 경우 항생제가 주된 치료법이며, 바이러스성 폐렴의 경우 항생제가 효과가 없기 때문에 대증 치료(증상 완화 치료)가 주로 이루어집니다. 호흡기 치료(예: 네블라이저, 산소 치료 등)는 아이가 호흡곤란이 있거나 산소포화도가 낮은 경우에 필요합니다. 만약 아이가 호흡곤란이 없고 산소포화도가 정상이라면 항생제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회복될 수 있습니다.
현재 아이의 상태가 염증 수치가 높고 엑스레이 상 변화가 있다면, 담당 의사와 긴밀히 상의하여 입원 치료 여부를 다시 한번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특히, 아이가 호흡곤란 증상을 보이거나 상태가 악화된다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어머니가 기저질환(유방암 4기 - 뼈, 간, 폐전이)이 있으신데 9월 초 부터 기침을 하시다가 10월 초에 병원에 갔더니 폐렴 진단을 받으셨습니다. 서울대 병원은 입원이 안된다고 해서 11일 부터 다른 병원에서 20일 가량 입원해서 항생제를 투약 했는데, 항생제 부작용으로 설사가 심하게 오셨네요. 센 항생제를 써서 그런 것 같은데 항생제 종류를 바꿔도 설사가 안멈추시네요. 금식을 1주일 가량 하셨는데도 설사도 안멈추고 기력이 없으십니다. 20일 항생제 치료에도 엑스레이 상에도 크게 변화가 없어서 우선 퇴원해서 항생제도 끊고 지사제랑 죽을 드시고 계십니다. 기침을 아직도 심하게 하셔서 폐렴 진료/치료를 해야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폐렴은 항생제로 치료 하는 수 밖에 없는지, 다른 방법은 없는 지 궁금합니다. 다른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봐야할지 고민 중 입니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으로 입원중입니다. 1차 항생제 지스로맥스 3일치 먹고 열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와중에 2차 항생제 투여를 하려고 합니다. 2차 항생제 부작용은 없나요? 이럴 경우 부작용을 우려해서 1차 항생제의 경과를 더 지켜보는 것과 한시라도 빨리 2차 항생제의 투입을 결정하는 것이 맞는 것인지 일반적인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의 치료 과정에 대해 궁금합니다
마이코플라즈마 폐렴은 마크로라이드계 항생제 1차 치료제이다면, 만약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이 아닌 다른 폐렴일 경우에도 클래리트로마이신으로 치료가 되나요? 아니면 클래리트로마이신 치료중에 마이코플라즈마균이 검출이 안됐다면 다른 계열 항생제로 변경해서 치료해야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