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지러움과 멍한 증상, CT MRI 필요할까?
머리가 멍하고 , 무겁고 잔 어지러움이 있습니다 느낌이 뇌쪽으로 혈액순환이 안 되는 듯 한 느낌이 있고 뒷목쪽을 주물러 주면 어지러움이 깨는 듯한 기분이 들곤 하는데 이비인후과 병원에서는 이석증 증상이라고 하시고 또다른 이비인후과는 이석증이 아니라고 하시는데 서울종합병원 큰 병원가서 CT MRI 찍어봐야 할까요 특히 눈 감을때 어지러움이 더 있습니다
머리가 멍하고 , 무겁고 잔 어지러움이 있습니다 느낌이 뇌쪽으로 혈액순환이 안 되는 듯 한 느낌이 있고 뒷목쪽을 주물러 주면 어지러움이 깨는 듯한 기분이 들곤 하는데 이비인후과 병원에서는 이석증 증상이라고 하시고 또다른 이비인후과는 이석증이 아니라고 하시는데 서울종합병원 큰 병원가서 CT MRI 찍어봐야 할까요 특히 눈 감을때 어지러움이 더 있습니다
AD
어지러움과 머리가 멍한 증상으로 불편함을 겪고 계시는군요. 특히 병원마다 다른 진단을 받으셔서 혼란스러우실 것 같습니다.
어지러움은 매우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석증, 메니에르병, 전정신경염과 같은 귀 관련 질환부터 뇌혈류 순환 장애, 경추 문제, 저혈압, 빈혈 등 여러 원인이 있을 수 있어요.
뒷목을 주물렀을 때 증상이 완화된다는 점은 경추성 어지럼증의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합니다. 경추 주변 근육의 긴장이나 경추 자체의 문제로 인해 혈류가 제한되어 어지러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CT는 뇌출혈이나 뇌종양과 같은 큰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지만, MRI는 더 세밀한 부분까지 확인할 수 있어 어지러움의 원인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증상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종합병원에서 신경과 진료를 받고 의사의 판단에 따라 MRI 검사를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비인후과에서 이석증 여부에 대한 진단이 엇갈리는 상황이라면, 전정기능검사나 비디오안진검사 등 좀 더 정밀한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눈을 감을 때 어지러움이 심해지는 것은 시각적 보정이 없어질 때 균형 감각에 더 의존하게 되어 나타나는 현상일 수 있으며, 이는 전정기관의 문제를 시사할 수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증상이 지속되고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종합병원 신경과나 이비인후과에서 정밀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제가 앉아있는 쪽을 버스가 들이받은 거라 머리를 크게 부딪혔습니다. 지금도 머리에 혹이 있고 오래 앉아있으면 어지럽고 멍해지는데요. 한국 들어오자마자 뇌 CT 찍었을 땐 출혈은 없는데 나중에라도 생길 수 있으니 검사를 한번 더 받아보는 게 좋다고 해서요. 근데 저는 딱히 두통이나 구토 같은 뇌출혈 증상은 없는데, 빠른 시일 내로 뇌 MRI 검사를 받는 게 좋을까요?
지인이 ct 촬영 결과 췌장에 물혹이 아닌 뭔가보여 병원에서 mri 와 pet ct까지 검사하라고 했답니다.Mri까지는 알겠는데 pet ct까지 필요한가요? 이 병원에서는 수술을 못해 다른 병원으로 가야한다네요
뇌 mri에서 뇌에 문제가 없다 판단되면 Ct까지 찍을 필요는 없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