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레보원정 복용 후 가슴뭉침이 있나요?
노레보원정 복용 후 가슴뭉침이 있나요?
노레보원정 복용 후 가슴뭉침이 있나요?
진료가 필요한 상황인가요?
노레보원정과 같은 사후피임약 복용 후 유방 긴만감이나 가슴뭉침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사후피임약에 포함된 호르몬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부작용 중 하나로 알려져 있어요.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증상은 일시적이며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증상이 지속되거나 심해진다면, 호르몬 변화 외에 다른 원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가슴 통증이나 뭉침이 심하고 지속될 경우, 유방 농양이나 유선염과 같은 다른 질환의 가능성도 있으므로 유방외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꼭 확인해주세요.
어릴때 adhd가 있었던걸로 소아정신과에 갔던적이 있어서, 최근에 일상생활이 힘들정도로 지장이 많아, 로컬 정신과의원을 방문하여 검사하였는데 선생님께서 adhd보다는 불면증으로 인한 우울증인거 같다하시며 7일치만 약을 처방해주셨습니다. 이후 뵙기로 하였고 그때 adhd약을 복용할지 고민해보자 하였는데 약을 먹는동안 더 참을성이 확연하게 없어지고, 몸의 움직임이 많고 울분감이 많아지고,멍때리는 시간이 많아지고, 사람의 목소리보다 기계같은 물체의 소리가 더 거슬리는게 이전보다 심해졌습니다. 처방받았던 약은 부프로피온,인데놀 아침에 복용하고 저녁엔 자나팜정을 복용하였습니다. 전문의 선생님의 조언적이나 사료되는 점 답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다니는 정신과에 두명의 선생님이 계십니다. 1번쌤- 소아정신과전문의 “너 adhd야. S대도 수시로 겨우 갔지? 하면서 환자 비하발언+ 너네 부모님을 탓해라” 라고 정확히 말하셨습니다.. 2번쌤- 정신과 전문의 00환자분은 adhd라고 볼수 있는 근거가 없어요. CAT검사 결과지로 봤을때도 오히려 정상인들보다 관찰력이나 주의력이 높으신편이에요. 대체 누구 말이 맞을까요.. 이사로 인해 병원을 새로 바꿨는데 서로 말이 다릅니다. 참고로 adhd는 살다살다 처음들어봅니다. 제 학력은 작년에 SKY의 S대 상경계열 졸업했으며, 책상에도 10시간 넘게 앉아있습니다…. 다른 병원 가봐야될까요…?
제가 스스로를 성인 ADHD로 의심하고 있는데 ADHD 검사와 정확한 진단을 받고 처방을 받는 과정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동네 큰 병원의 정신과에 가서 검사 받는 것과 정신의학과의원에서 검사 받는 것, 어느 것이 나을까요? ADHD 전문 병원이 따로 있나요? 그리고 ADHD인 경우 콘서타?를 처방받는다고 알고있는데, ADHD가 얼마나 심하느냐에 따라 콘서타를 처방받는 양이 달라지나요? 다른 약도 처방 받을 수 있나요? ADHD 약은 보통 저녁에 한번 먹게 되나요? 콘서타의 효능과 효과는 무엇인가요? 그리고 궁극적으로 ADHD약을 먹으면 ADHD가 없어질 수 있나요? 아니면 약을 평생 먹고 살아야 하는 운명인가요... 어떤 검사를 통해 ADHD라고 진단하게 되나요? ADHD 검사 전날에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정신과약을 복용하지 않는 것이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