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질문
알약이 몸에 흡수가 안되고 바로 변으로 나온다고 여쭤봤는데 답변에 대해 추가로 여쭤봅니다. 알약복용한지 한시간도 안되어 변으로 확인되는 경우도 약형태는 그대로고 효과는 몸속에 흡수가 된다는 건가요?
알약이 몸에 흡수가 안되고 바로 변으로 나온다고 여쭤봤는데 답변에 대해 추가로 여쭤봅니다. 알약복용한지 한시간도 안되어 변으로 확인되는 경우도 약형태는 그대로고 효과는 몸속에 흡수가 된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약 중에는 소화기관에서 녹지 않고 약 모양 그대로 대변으로 배출되는 약이 있어요. 다만 영양제 성분들이 체내 소화, 흡수 되는 시간이 1-2시간 정도이며 영양제의 유효성분들은 체내에 흡수될 만큼 되고 나머지 부분이 소변이나 대변으로 배출될 수 있다해요. 다만, 영양제를 포함한 모든 알약이 대변으로 그대로 배출되는 경우는 비정상적인 대변 양상으로 소화기관 관련 질환이 있을 수 있어 가까운 내과에 방문하셔서 의사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걸 권유드려요. 서방정과 같이 코팅이 된 약물은 방출 기전이 설정된 약제이므로 소화기관을 지나면서도 약 모양이 없어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 대변과 함께 나올 수 있으나 약물의 성분 등은 모두 흡수가 된 상태로 볼 수 있어요. 무료상담 서비스는 의료 행위(의사의 진료)를 대신할 수 없는 점 양해 부탁 드려요.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다시 이용해 주세요. 감사합니다. 🙂
목소리를 듣고 좋은 서비스를 제공해드릴게요.
안녕하세요. 닥터나우 의료진입니다. 만 2세 무렵까지 아기가 자다가 우는 일은 흔한 일이며, 걱정하실 필요는 없어요. 8개월에서 18개월까지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고 해요. 아이가 자다가 깼는데 아무도 없어서 무서웠던 경험을 한 번 하게 되면, 아이가 자주 밤에 깨고 울거나 잠들기 전에 무서워할 수 있어요. 안심하고 다시 잠들 수 있도록 배려해 주세요. 아이가 깨서 부모를 찾을 때 지체하지 말고 대답하고 아이 곁으로 가셔야 해요. 이렇게 노력하시면 얼마 지나지 않아 자다가 우는 버릇은 없어질 것이라고 해요. 질문을 답변은 잘 받았는데 아기가 자다깨면 곁으로 가라고 하셨는데 곁에 있다가 아기침대에서 나와서 어른침대로 가면 울드라구요 울어도 혼자 자는 법을 깨닫게 해줘야되는거지 계속 곁에 있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자나팜정 0.5 15일치 처방 받앗어요 아침에 1회 먹고. 필요시에 먹으면 된다고 하셨는데 전에 질문에서 2시간 간격이라는것이 커피먹고나서 2시간 간격인지. 약 끼리 2시간 간격인지 모르겟어요 1일 3회이면. 아침 점심 저녁일텐데 최소 몇시간 간격이 필요한가요? 아침10시에 먹고 필요시에 점심 12시에 먹어도 되나요?
방금 빠른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ㅜ 추가 질문이 있어서요...죄송합니다..ㅜ 질문들에 대한 답변 꼭 좀 부탁드립니다. 추가질문 1. 혀 뒷면과 같은 구강표면 착색이라고 써주셨는데 그럼 혓바닥도 착색이 될 수 있는 부위라는것이죠? 추가질문 2. 제가 근육이완제 같은 신경통약과 위장약을 같이 복용하고 있습니다. 이런것도 원인이 될 수 있을까요? 추가질문 3. 보통 큰 병이 있으면 갈색으로 착색되고 그런것은 아니죠?ㅜ ㅜ